중국 오성홍기가 날리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중국이 ‘반도체 굴기’를 위해 조성한 수십 조원 규모의 정부 투자기금 사업에서 발생한 부패 스캔들이 확산하고 있다.
중국공산당 반부패 사정 기구인 중앙기율검사위원회(당 기율위)는 9일 화신투자관리의 류양 총경리와 두양 전 총감, 양정판 부총경리 등 전·현직 고위 관계자 3명을 당 기율 및 위법 혐의로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당 기율위는 이들의 구체적인 혐의는 밝히지 않았다.
중국 정부는 2014년 반도체 기업 등을 지원하는 펀드인 ‘국가집적회로산업 투자펀드’(대기금)를 조성했고, ‘화신투자관리’에 운용을 맡겼다. 중국은 2014년 1387억 위안(약 26조8000억원), 2019년 7월 2000억 위안(38조7000억원)을 펀드에 투입해, 중국 내 100여개 반도체 제조사와 설계사, 패키징사 등에 투자했다. 대기금은 ‘소유와 관리를 분리한다’는 원칙 아래 자금 조성은 국가집적회로산업투자펀드사가 맡고, 투자 업무는 화신투자관리가 맡도록 했지만 결과적으로 부패를 막지 못했다.
이번 화신투자관리 3명의 전·현직 임원을 포함해 총 6명의 대기금 전·현직 고위 임원들이 중국 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다. 지난해 11월부터 국가집적회로산업투자펀드의 딩원우 총재와 화신투자관리의 루쥔 전 총재, 가오쑹타오 전 부총재가 조사를 받고 있다.
대기금의 지원을 받은 업체도 수사 선상에 올랐다. 중국 최대 반도체 기업인 칭화유니 그룹의 자오웨이궈 전 회장이 지난달 당국에 연행됐고, 칭화유니의 디(D)램 사업부를 총괄했던 임원도 조사를 받고 있다. 또 이번 ‘반도체 스캔들’과 연관돼 있는지 알 수 없지만, 지난달에는 반도체 등 산업 정책을 총괄하는 현직 장관인 샤오야칭 공업정보화부장(장관)이 비위 의혹으로 사정 당국의 조사를 받기 시작했다.
중국은 2010년대 10%대였던 반도체 자급률을 2025년까지 70%로 높인다는 목표 아래 국가적으로 반도체 굴기에 나섰다. 하지만 시장조사 업체 등은 중국의 반도체 자급률이 미국의 견제 등으로 인해 2022년 현재도 10%대에 머무는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정부가 적극 지원한 반도체 회사 우한훙신(HSMC)은 자금난에 몰려 2020년 11월 국유화됐고, 칭화유니그룹도 부채를 감당하지 못해 파산 위기에 몰렸다가 국유화됐다.
베이징/최현준 특파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