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중지권 보호를 요구하는 미국 시민들이 아이다호주 보이즈 시내를 행진하고 있다. 아이다호/AP 연합뉴스
미국 플로리다에 거주하는 여성 한 명은 원치 않은 임신을 했다는 사실을 알고 구글 지도를 통해 병원을 찾았다. 검색 끝에 그가 찾아간 곳은 이른바 ‘위기 임신 센터’였다. 센터 직원은 “임신을 유지하면 파트너와의 관계를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되고 삶의 목적을 다시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상황이 벌어진 것은 구글 지도가 안내한 센터가 의료기관이 아니라 원치 않은 임신을 한 여성들의 경우에도 임신중지를 하지 않도록 설득하는 단체였기 때문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위기 임신 센터’는 임신 상태에 대해서도 부정확한 정보를 전달했고, 이 여성은 시간과 돈을 추가로 쓰고서야 임신중지를 할 수 있었다.
구글에서 임신중지를 검색하면 이처럼 잘못된 정보가 검색되는 경우가 많자, 직원들이 회사를 비판하는 청원서를 최고 경영자에게 전달했다고 18일(현지시각)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의 직원노조는 지난 15일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책임자(CEO)에게 청원서를 보내 위기 임신 센터처럼 이용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곳을 검색 결과에서 빼고 임신중지를 원하는 이들에 대한 정보 수집도 중단하라고 요청했다. 직원들은 지난 6월에도 구글이 임심중지 관련자가 기소당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하지 말 것을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정치권도 구글을 비판하고 있다. 일부 민주당 하원의원은 6월 임신중지 검색 결과에서 위기 임신 센터 같은 엉뚱한 검색 결과가 나오지 않게 하도록 촉구하는 서한을 피차이 최고경영책임자에게 보냈다.
지난 6월 미국 연방대법원이 여성의 임신중지권을 인정한 1973년 ‘로 앤 웨이드’ 판결을 뒤집는 판결을 내놓은 이후, 미국 여성들은 임신중지 관련 정보를 찾아 구글로 인터넷 검색을 하는 경우가 늘었다. 연방대법원 판결 이후 각 주는 입법을 통해서 임신중지를 허용할지를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게 됐고, 이에 따라 임신중지를 하겠다고 결심한 여성은 어떤 주 어느 병원에서 임신중지를 할 수 있는지 등의 정보를 찾아야 했기 때문이다. 일부 주에서는 임신중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이도 처벌할 수 있어 인터넷 검색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플로리다주 여성의 사례처럼 구글 검색으로 찾은 ‘위기 임신 센터’를 임신중지 시술을 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으로 오해하기 쉽다. <블룸버그>는 “이들(위기 임신 센터)의 웹사이트가 합법적인 (의료기관인) 건강 클리닉과 구분이 어려워 구글 지도를 통해 정보를 찾은 이들을 잘못 이끌기 쉽다”며 “여성이 검색 결과를 보고 센터에 들어서면 센터는 임신중지 절차와 관련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한다”고 지적했다.
미국에서 대법원 판결 이후 임신중지 클리닉 수는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조지아대 조사에 따르면 미국에서 현재 임신중지를 할 수 있는 곳은 800곳에 그치지만, 임신중지를 반대하는 단체인 ‘위기 임신 센터’는 2500곳이 넘는다. 임신중지를 제한하는 주에 둘러싸인 일리노이주에서는 임신중지 클리닉의 예약이 몇 주 동안 꽉 찬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결국 위협받는 것은 여성의 건강권이다. 시카고 지역 의사 코웻은 <블룸버그>에 “잘못된 결과를 제공하는 구글 지도와 여성들이 받는 치료의 질 사이에는 ‘완전히’ 연관성이 있다”고 말했다.
조해영 기자
hych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