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드류 베일리 영국 영란은행장이 지난 8월4일 영국 재정상황을 보고하는 기자회견에서 한숨을 쉬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식료품값이 폭등으로 영국의 9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10% 넘게 치솟아 7월에 이어 40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19일 영국 통계청(ONS)은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10.1%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8월 상승률(9.9%)보다는 조금 높고, 4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던 7월(10.1%)과 같은 수준이다. 영국 통계청은 특히 식품 가격이 무려 14.5%나 올라 1980년 4월 14.6% 이래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8월에 다소 진정됐던 물가 상승세가 다시 오른 것으로 나타나며, 영국 중앙은행이 다음 달 초 다시 큰 폭의 금리 인상을 단행할 수밖에 없게 됐다. 물가지수 발표 후 파운드화의 미 달러 대비 환율은 소폭 하락하고 단기 국채금리는 상승했다.
폴 데일스 캐피털 이코노믹스 영국 경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로이터> 통신에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품 등을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이 6.5%로 30년 만에 최고인 상황이다. 오늘 발표된 물가지수는 취약한 경제 상황에서 기저에 깔린 물가 상승 압박이 강하다는 위험 신호”라고 말했다.
지난 14일 지명된 영국의 새 재무장관 제레미 헌트는 임명된 지 일주일도 채 되지 않아 40년만에 최고치로 상승한 물가를 잡아야 하는 난관에 직면했다. <에이피>(AP) 통신은 헌트 신임 재무장관이 리즈 트러스 총리가 단행한 감세 정책 이후 재정 안정성 회복이란 큰 과제를 만났지만, 이를 풀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고 전했다. 헌트 장관은 17일 트러스 총리의 감세안을 사실상 뒤집는 발표를 하며 “모든 정부에 가장 중요한 책임은 경제의 안정을 위해 필요한 조처를 취하는 것”이라며 “영국의 경제 안정과 재정 규율에 대한 정부 약속에 대한 신뢰를 제공하려면 영국의 재정이 중기적으로 안정된 길로 접어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