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1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엘리제궁에서 티브이 방송을 통해 신년 연설을 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집권 초기부터 5년 넘게 연금개혁을 추진해온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올해엔 반드시 이 공약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신년을 하루 앞둔 지난달 31일(현지시각) 프랑스 대통령실(엘리제궁)에서 한 신년 연설에서 마크롱 대통령은 “올해는 앞으로 몇 년, 몇십 년 동안 우리 시스템의 균형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연금개혁을 하는 해가 될 것”이라 말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연설에서 “우리는 더 오래 일할 필요가 있다”며 복잡한 프랑스 연금 제도를 개혁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해 10월에도 마크롱 대통령은 프랑스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가야 할 길은 오직 하나다. 우리가 더 오래 살고 있기 때문에 더 오래 일해야 한다”며 연금개혁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지난해 9월, 프랑스 연금자문위원회(COR)는 프랑스의 공공 연금이 내년부터 줄곧 적자에 접어들 것이라고 밝혔다.
마크롱 대통령은 몇 달 내로 새로운 안을 확정하고, 2023년 여름이 지날 무렵 이를 적용하겠다고 예고했다. 지난달 12일 연금개혁에 관해 노조와 정당과의 협의를 주도하고 있는 엘리자베스 보른 총리도 구체적인 연금 개혁안을 새해 1월10일 공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마크롱 정부는 은퇴 연령을 현행 62살에서 2031년부터 65살로 올리는 방향을 목표로 한 개혁안을 추진하고 있다.
2017년 5월 첫 임기를 시작한 마크롱 대통령은 연금개혁을 공약 중 하나로 내걸고 당선됐다. 하지만 연금 개혁안은 폭넓은 대중적 지지를 받지 못했고 특히 노조가 강력히 저항했다. 2019년 12월 노동계 대규모 파업에 2020년 초 코로나19 세계적 대확산(팬데믹) 사태까지 겹쳐, 마크롱 정부의 연금개혁 추진은 좀처럼 진척을 보이지 못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해 4월 재선에 성공했지만 두 달 뒤인 6월 총선에서는 집권여당인 중도 연정 ‘앙상블’이 하원 의석 과반을 차지하는 데 실패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보수 성향 야당인 공화당을 설득해야 연금개혁을 추진할 수 있지만, 야당 설득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