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국제일반

‘중국 부동산 위기 진앙’ 헝다, 미국 법원에 파산보호 신청

등록 2023-08-18 11:18수정 2023-08-18 18:46

중국 상하이에 있는 헝다 그룹 건물. 상하이/AFP 연합뉴스
중국 상하이에 있는 헝다 그룹 건물. 상하이/AFP 연합뉴스

2021년 채무불이행(디폴트) 사태로 중국 부동산 위기의 진앙이 된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에버그란데)가 미국에서 파산 보호 신청을 했다. 채권자들로부터 미국 내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조처이다.

17일(현지시각) 로이터 통신 보도를 보면, 헝다는 이날 미국 뉴욕 맨해튼 파산법원에 파산보호법 15조에 따른 파산 보호신청을 했다. 헝다는 이날 계열사인 텐허 홀딩스에 대해서도 파산보호를 신청했다.

파산보호법 15조는 다른 국가에서 구조조정을 하는 동안 미국 내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진행하는 절차이다. 법원이 헝다의 파산보호 신청을 받아들이면 채권자들은 헝다의 미국 내 자산을 압류하지 못하고, 다른 법적 절차도 진행하지 못하게 된다.

헝다 쪽은 신청서에서 홍콩과 케이맨 제도,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에서 진행 중인 구조조정 협상을 인정해 달라고 요청했다. 또 채권자들이 이번 달 안에 구조조정 협상과 관련해 승인 여부를 투표할 예정이며, 다음 달 첫째 주에 홍콩과 버진아일랜드 법원의 승인을 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파산법원의 심리는 다음달 20일 열릴 예정이다.

중국 최대 부동산 개발업체였던 헝다는 지난 2021년 말 채권 상환에 실패하면서 중국 부동산 위기의 진앙이 됐다. 당시 헝다가 상환하지 못한 채권 규모는 227억달러에 이른다. 이후 헝다는 지난해 3월 홍콩 주식 시장에서 거래가 정지됐다. 헝다의 부채 규모는 현재 3300억달러(440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중국 부동산 시장은 헝다의 상환 실패로 큰 충격을 받았으나 이후 헝다가 지속적으로 구제책을 내놓으며 위기가 크게 번지지 않았다. 하지만 지난달부터 완다와 비구이위안, 위안양 등 다른 대규모 부동산 업체들이 잇따라 채권 상환에 실패하면서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들 업체들이 중국 주택 판매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0%가 넘는다.

고객 돈을 모아 부동산에 투자하는 중국 최대 민간 부동산 신탁회사인 중룽신탁 역시 이달 들어 만기 상품을 돌려주지 못하고 있어, 위기가 금융 분야로까지 전이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베이징/최현준 특파원 haojun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이란 가수, 신성 모독 혐의로 사형 선고…항소 가능 1.

이란 가수, 신성 모독 혐의로 사형 선고…항소 가능

트럼프, 푸틴에 우크라 전쟁 협상 압박…“거부 땐 추가 제재” 2.

트럼프, 푸틴에 우크라 전쟁 협상 압박…“거부 땐 추가 제재”

미국 여권서 사라진 X…트럼프가 없애버린 ‘제3의 성’ 3.

미국 여권서 사라진 X…트럼프가 없애버린 ‘제3의 성’

트럼프의 ‘12·3 내란’ 관련 언급 “내가 정신 사납다고? 한국 봐라” 4.

트럼프의 ‘12·3 내란’ 관련 언급 “내가 정신 사납다고? 한국 봐라”

트럼프, 불법 이민자 본격 단속…‘피난처’ 시카고 “협조 않겠다” 5.

트럼프, 불법 이민자 본격 단속…‘피난처’ 시카고 “협조 않겠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