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왼쪽에서 둘째) 대통령이 6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에서 기시다 후미오(첫째) 일본 총리, 리창(넷째) 중국 총리, 조코 위도도(셋째)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정부가 국제 외교 무대에서 ‘한·중·일’이라는 표현 대신 ‘한·일·중’이라고 한 데 대해 중국 매체가 불편함을 드러냈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8일 ‘한·일·중이라는 표현이 한국인에게만 이상하게 들리는 게 아니다’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한국이 비교적 자주적이고 균형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동북아에서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는 전초 기지로 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한국이 일본과의 ‘긴밀한 관계’를 강조하면, 중국·일본·한국의 균형이 깨질 수 있다. 한국은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6일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아세안 정상회의에서 “이른 시일 내에 한·일·중 정상회의를 비롯한 3국 협력 메커니즘을 재개하기 위해 일본, 중국과 긴밀히 소통해 가겠다”고 발언했다. 한·미·일 협력을 위해 일본과 밀착하는 윤석열 정부의 외교 기조를 그대로 드러낸 것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글로벌타임스는 해당 발언을 소개하며 “윤 대통령의 한·일·중 표현에 대해 많은 한국인들이 이상하게 생각하고 있다”며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일·한·중이라고 하자는 얘기도 나온다”고 전했다. 매체는 이어 “미·일·한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담 이후 한국 정부는 ‘3국’의 우정에 큰 만족감을 얻은 게 분명하지만 정부의 인식과 한국 사회를 포함한 외부 세계의 시각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며 “한국 정부는 중국, 일본, 한국의 순서를 바꿔 이를 ‘불확실한 요소’로 만들기보다, 지역 평화와 안정에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글로벌타임스는 “한국은 중국·일본·한국 3국 협력의 의장국이며, 중국은 한국이 3국 협력을 높이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하도록 지원해 왔다”며 “우리는 한국이 3국 협력 활성화를 진정으로 실행하고 모든 이들의 우려에 대응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외교부 당국자는 지난 7일 최근 정부가 한·일·중 표현을 자주 쓰는 것과 관련해 “기본적으로 (명칭은) 의장국 순서대로 따르는 관행이 있다. 우리나라가 올해 (3자 정상회의) 의장국이고 다음해는 일본이 의장국”이라며 “어순에 큰 의미를 두진 않는다”고 말했다.
베이징/최현준 특파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