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국제일반

아시안 내부·소수 인종간 연대부터 한걸음씩

등록 2021-05-21 05:00수정 2021-05-21 08:07

[미국 아시안의 딜레마]
아시안 사이에서도 문화 등 큰 차이
흑인·히스패닉 시선도 곱지 않아
“최근 아시아계에 대한 혐오 급증
인종주의에 맞선 연대 관심 촉발”
미국 하원에서 아시안에 대한 증오범죄 방지법이 통과된 18일(현지시각) 주디 추 연방 하원의원이 ‘#아시안 증오를 멈춰라(#StopAsianHate)’라는 해시태그가 적힌 마스크를 쓴 채 의사당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참석하고 있다. 워싱턴/ AFP 연합뉴스
미국 하원에서 아시안에 대한 증오범죄 방지법이 통과된 18일(현지시각) 주디 추 연방 하원의원이 ‘#아시안 증오를 멈춰라(#StopAsianHate)’라는 해시태그가 적힌 마스크를 쓴 채 의사당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참석하고 있다. 워싱턴/ AFP 연합뉴스

미국 내 아시아계에 대한 증오를 없애려면 이들도 온전한 미국 시민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사회 전반에 걸친 교육과 아시아계의 정치력 신장 등 상당한 시간이 드는 일이다. 최근의 아시아계 혐오·폭력 증가 및 이에 대한 관심 고조와 맞물려 우선 필요한 것은 아시아계 내부, 그리고 소수인종 간의 연대다. 하지만 이 또한 여러 걸림돌을 마주하고 있다.

우선, 아시아계 내부의 연대부터가 쉽지 않다. 출신 국가와 언어, 역사, 문화가 너무도 다양하기 때문이다. 퓨리서치센터 자료를 보면 미국 내 약 2300만명의 아시아계가 뿌리를 둔 국가는 20여개에 이른다. 중국(23%)이 가장 많고, 인도(20%), 필리핀(18%), 베트남(9%), 한국(8%), 일본(6%) 등이다. 지난해 5월 흑인 조지 플로이드가 백인 경찰의 무릎에 목이 짓눌려 숨진 뒤 미 전역에 걸쳐 지속적이고 대대적인 ‘흑인 목숨도 소중하다’(Black Lives Matter) 운동이 일었다. 이와 비교해, 지난 3월 조지아주에서 아시아계 여성 6명 등 8명이 숨진 사건은 폭발적인 운동으로까지 번지지는 못했다. 한 활동가는 “흑인들은 조상의 나라를 따지지 않고 뭉치지만 아시아계는 출신국을 묻는다”고 말했다.

아시아계 내부에서 인종 갈등에 대한 세대 차이도 있다. 장성관 미주한인유권자연대(KAGC) 사무차장은 “최근 급증한 인종주의 기반 폭력 사건에 대해 이민 1세대는 경찰력 증가와 한인 거주지역·상점 순찰 강화를 요구하는 반면, 2세대는 경찰력 증가는 흑인·히스패닉에 대한 불균형한 체포로 이어지고 인종 간 갈등을 심화할 소지가 있다고 반대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2세대는 경찰력 증가보다는 사법당국과 지방정부의 소수인종 언어 지원 서비스나 문화 이해도 훈련 등이 더 낫다고 본다는 것이다.

소수인종 간 연대는 더욱 어렵다. 한인과 흑인의 갈등이 존재하고, 아시아계를 보는 다른 소수인종의 시선도 곱지 않다. 장 사무차장은 “블랙(흑인), 브라운(히스패닉) 사회와의 연대는 아시아계 사회의 외부적인 정치집단화 과정에서 가장 큰 과제”라며 “흑인·히스패닉 사회에서는 아시아계를 ‘우리 동네에 와서 아무 기여도 하지 않고 돈만 벌어가는 약은 사람들’로 보는 인식 또한 존재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희망의 싹도 보인다. 보스턴대학교 반인종주의연구소의 레이철 리 매니저는 “아시아계 혐오의 급증이 아시아계 사이에서 인종주의, 혐오에 맞선 연대에 관한 관심을 촉발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이민 2세대들이 흑인에 반감을 지닌 부모들과 대화할 방법에 관해 자신에게 조언을 구해오고 있다며 “아시아계 내부, 다른 유색인종 커뮤니티의 연대가 무슨 의미인지에 관한 대화를 하는 게 긴급하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대만계인 존 양 아시안아메리칸정의진흥협회(AAJC) 회장은 <한겨레>와 한 인터뷰에서 “아시아계 혐오를 없애기 위해 증오범죄법 제정 등 법적 해법 외에도 아시아계에 대한 언어·법률·정신건강·고용·이민서비스 지원 등 단단한 사회안전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초·중·고와 그 이상의 학교에서 아시아계 미국인의 역사를 가르치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말도 안 되는 종이 빨대…플라스틱으로 돌아간다” 1.

트럼프 “말도 안 되는 종이 빨대…플라스틱으로 돌아간다”

타이 여성 100여명 조지아로 유인해 난자 적출…“수사 중” 2.

타이 여성 100여명 조지아로 유인해 난자 적출…“수사 중”

0.004초 차 ‘금’ 빙속 이나현 “첫 국제대회 정상…이제 시작” 3.

0.004초 차 ‘금’ 빙속 이나현 “첫 국제대회 정상…이제 시작”

트럼프, ‘북한 완전 비핵화’ 원칙 첫 천명…“김정은 다시 만날 것” 4.

트럼프, ‘북한 완전 비핵화’ 원칙 첫 천명…“김정은 다시 만날 것”

500m 금 따고 통곡한 린샤오쥔…중국에 쇼트트랙 첫 금메달 5.

500m 금 따고 통곡한 린샤오쥔…중국에 쇼트트랙 첫 금메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