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시민단체인 ‘나고야 미쓰비시 조선여자근로정신대 소송을 지원하는 모임’이 10일 오전 11시30분 도쿄 지요다구 미쓰비시상사 앞에서 521번째 ‘금요행동’을 진행했다. 도쿄/김소연 특파원
“강제동원 피해자를 외면하는 일본이 너무 부끄럽습니다.”
10일 오전 11시30분 도쿄 지요다구 미쓰비시상사 앞에서 일본 시민단체인 ‘나고야 미쓰비시 조선여자근로정신대 소송을 지원하는 모임’의 521번째 ‘금요행동’이 진행됐다. 데라오 데루미(87) 공동대표는 “지금이 부끄러운 일본, 부끄러운 기업에서 탈피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며 “피고 기업인 미쓰비시중공업과 일본제철은 강제동원 피해자에게 사과하고 배상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가 지난 6일, 2018년 대법원 배상 판결을 무력화시키는 양보안을 일방적으로 발표하면서 강제동원 피해자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의 양심적 시민들도 이를 지지하고 나섰다. 한국 정부는 일본 피고 기업 대신 한국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배상하는 ‘제3자 변제’ 방안을 발표했다.
나고야에서 올라온 ‘소송지원 모임’ 회원인 하야시 야스자와는 확성기를 들고 “피해자들이 원하는 것은 피고 기업의 진심 어린 사과와 반성이다. 이를 놔두고 한-일 관계는 절대 개선될 수 없다”고 소리쳤다.
야노 히데키 ‘강제동원 문제 해결과 과거청산을 위한 공동행동’ 사무국장도 “한국 정부의 발표에 대해 일본 정부는 ‘좋다’고 말하고, 피고 기업은 완전히 ‘방관자’처럼 행동한다”고 비판했다. 야노 국장은 “이런 식으로는 강제동원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며 “강제동원이라는 역사적 사실과 마주해야 한다. 어깨에 놓인 역사적 부채를 내려놓기 위해서라도 사과와 배상에 나서라”고 호소했다.
일본 시민단체인 ‘나고야 미쓰비시 조선여자근로정신대 소송을 지원하는 모임’이 10일 오전 11시30분 도쿄 지요다구 미쓰비시상사 앞에서 521번째 ‘금요행동’을 진행했다. 도쿄/김소연 특파원
이날 ‘금요행동’에는 연대를 하기 위해 도쿄, 가나가와현 가와사키 등에서도 시민들이 참여해 11명이 모였다. 이들은 낮 12시부터 근처 미쓰비시중공업 본사 앞으로 이동해 전단지를 나눠주고, ‘나고야 미쓰비시 조선여자근로정신대원에게 지급하지 않은 임금을 지급하고, 사죄와 배상하라’ 등이 적힌 현수막을 들고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나고야 소송 모임은 1998년 미쓰비시중공업의 나고야 항공기제작소에서 강제동원 된 피해자들이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는 것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 나고야 소송 모임은 일본 고등재판소 패소 뒤인 2007년 7월부터 미쓰비시중공업 앞에서 매주 ‘금요행동’을 시작했고,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중간에 중단되기도 했다. 지난해 7월부터 매주 두 번째 금요일만 ‘금요행동’을 하고 있다. 모임 관계자는 “미쓰비시 관련 업체 사장들이 매월 두 번째 금요일 점심에 모인다. 그들이 우리의 요구를 알아주길 바라는 마음”이라고 말했다. 회원들은 이를 위해 왕복 720km를 오가고 있다.
모임의 공동대표인 다카하시 마코토는 강제동원 피해자들과 직접 연대하기 위해 한국 광주로 갔으며 9일 기자회견 등을 진행했다.
도쿄/김소연 특파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