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세계 각지에서 일하는 정보기술(IT) 전문 인력인 이른바 ‘디지털 노마드’를 위해 90일 이상 체류할 수 있는 전용 비자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자료사진. 로이터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세계 각지에서 일하는 정보기술(IT) 전문 인력인 이른바 ‘디지털 노마드’를 위해 90일 이상 체류할 수 있는 전용 비자 도입을 추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요미우리신문>은 28일 기시다 후미오 내각이 조만간 수립할 예정인 ‘일본 방문 외국인 회복을 위한 행동계획’에서 디지털 노마드(유목민)를 염두에 두고 비자 체류 자격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디지털 노마드는 소프트웨어 개발이나 웹 디자인 등 아이티 기기만 있으면 어디서든 근무할 수 있는 직종에서 일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기업에 소속된 노동자도 있지만, 프리랜서도 많다. 이들은 세계를 여행하면서 일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전 세계적으로 약 3500만명으로 추산되고, 이들이 사용하는 소비액만 연간 7870억 달러(약 1045조원)에 달한다.
일본은 한국·미국 등 69개 국가·지역을 대상으로 최장 90일 동안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고 있다. 디지털 노마드의 경우 약 60% 이상이 한 곳에서 3~6개월 머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 정부는 디지털 노마드를 위해 90일 이상 체류가 가능한 전용 비자를 검토하겠다는 생각이다.
일본에서 90일 이상 머물기 위해서는 ‘취업비자’가 필요하다. 이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일본에 거점을 둔 법인 등으로부터 급여를 받아야 한다. 일본 밖에 있는 기업으로부터 급여를 받는 디지털 노마드는 취업비자를 받기 어려운 구조다.
<요미우리신문>은 “유럽이나 중남미 등에선 이미 전용 비자를 도입해 6개월에서 2년 정도 체류를 인정하는 사례가 있다”고 전했다.
도쿄/김소연 특파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