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토야마 유키오 일본 민주당 대표가 3일 도쿄 당사에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의 통화 내용에 대해 기자들에게 이야기하고 있다. 도쿄/AFP 연합
하토야마 보는 미국 시각
‘탈미 논문’ 논란속 ‘큰틀 그대로’ 낙관 우세
‘탈미 논문’ 논란속 ‘큰틀 그대로’ 낙관 우세
미국은 ‘미-일 관계에서의 독립성’을 강조한 하토야마 유키오 일본 민주당 대표에 대해 경계심을 갖고 있다. 그러나 중장기적으로는 일본이 외교정책에서 근본적인 변화를 지향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미국의 경계심은 언론이 먼저 표출했다. 포문은 <뉴욕 타임스>가 열었다. 신문은 총선 직전인 지난달 27일 하토야마 대표의 논문을 요약해 실었는데, 논문에는 “금융위기는 미국식 시장경제를 이상으로 여기는 사고방식의 결과” 등의 내용이 담겨 있었다. 총선 직후에는 <워싱턴 포스트>가 바통을 이었다.
<워싱턴 포스트>는 1일치 사설에서 하토야마를 “경험이 부족한 정치인”이라며 “북핵 위협이 존재하는 가운데 일본이 미국과의 결렬을 모색하는 건 너무 위험하다”고 보도했다. 같은 날 <뉴욕 타임스> 사설은 아프간 지원에 소극적인 움직임을 보이려는 하토야마의 발언을 문제삼았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지난달 31일치 사설에서 “아프간 등 미국의 핵심 우선 외교순위에 일본이 (동참하지 않고) 이탈할 수도 있다”며 우려의 시선을 보냈다.
이런 언론 반응은 미국 정부의 속내를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커트 캠벨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2일 워싱턴에서 열린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세미나에서 “일본의 정권교체로 양국 관계가 난관에 봉착하진 않을 것”이라면서도 “정책 면에서 단기간에 (일본이) 비현실적 기대를 해선 안될 것”이라고 말해 일본에게 정권이 바뀌었다고 ‘오버’하진 말 것을 은근히 주문했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미-일 관계에서 중장기적으로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정치전문지인 <내셔널저널>은 2일 외교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일본의 정권교체는 경제 때문이지, 외교 때문이 아니었다”며 “일부에서 미-일 동맹의 미래를 걱정하는 이들이 있으나, 중장기적으로 동맹관계는 더 강화될 전망”이라고 전했다.
스콧 스나이더 아시아재단 한미정책연구소장도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미 정부의 입장은 일단은 지켜보자는 쪽”이라며 “‘독립성’ 주장은 정책 강조점을 언급한 것일 뿐 본질적 변화를 요구한 것으로 보진 않는다”고 말했다.
워싱턴/권태호 특파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