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일본을 방문중인 성김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회담에 앞서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 성김 특별대표는 회담이 끝난 뒤 5차 핵실험을 진행한 북한에 “최대한 강한 조치”를 취하도록 양국이 연대할 것이라 밝혔다. 도쿄/AP 연합뉴스
일본이 북한의 5차 핵실험이 조만간 이뤄질 수 있다는 정보를 미국을 통해 파악하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0일 일본이 북한의 5차 핵실험을 미리 인지하고 있었는지 여부에 대해 ‘정부 고위관계자’를 인용해 “9일은 북한의 건국기념일이다. (이날 북한의 핵 실험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준비는 하고 있었다”는 발언을 소개했다. 신문은 또 일본에 북한의 핵 실험이 임박했음을 전해준 ‘최대 정보원’을 “미국”이라고 밝히며 “(일본이 2013년 12월 국내의 강한 반대 여론을 무릅쓰고 강행 통과시킨) 특정비밀보호법이 정비되어 있었기 때문에 미국이 (이런 정보를) 일본에 알려줬다”는 정부의 인식을 짧게 소개했다.
일본 언론에 소개된 이런 단편적 발언만으로는 미국이 일본에 제공한 북핵 관련 정보가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인지, ‘9일’이라는 정확한 시점까지 알려준 것인지 판단하긴 힘들다. 그러나 한국도 함경북도 풍계리 부근의 물자 수송 동향을 1~2개월 전부터 파악하고 있었다는 점, 미국이 ‘북한의 핵실험 날짜’라는 중대한 정보에 대해 한-일 사이에 ‘정보 격차’를 뒀다고 보긴 힘들다.
일본 정부는 9일 오전 9시30분께 북한에서 핵실험에 의한 것으로 보이는 지진파를 관측한 뒤 신속한 대응에 나선다. 아베 신조 총리는 핵 실험 10분만에 관계부처에 정보 수집·분석 등을 지시했고, 다시 한 시간 뒤인 오전 10시44분 베이징 대사관 루트를 통해 북한에 강한 항의의 뜻을 전달했다. 아베 총리가 기자단을 상대로 회견에 나선 것은 오전 10시50분이었다. 이에 견줘 한국은 황교안 국무총리와 홍용표 통일부장관이 지방행사 참석을 위해 서울을 비우는 등 적지않은 빈틈을 보였다. 만일, 미국이 북핵 정보에 대해 한-일간 정보 격차를 둔 것이라면, 한미동맹 전반에 대한 재검토가 불가피해 보인다.
이와 관련해 한민구 국방장관은 9일 국회 국방위에서 핵실험 징후 포착여부에 대해 “가능성에 대한 평가는 한미 정부 당국이 공동으로 한다. 정확하게 언제 할 것인가 추정하는 것이 제한되는 것도 사실”(정확한 시점을 예측하기 힘들다는 의미)이라고 말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미국이 한국에 제공한 정보 내용을 묻는 <한겨레>의 질문에 즉답을 피했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하어영 기자
charis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