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유레카] 코로나19, ‘1급 감염병’ 딜레마 / 이종규

등록 2022-03-29 14:51수정 2022-03-30 02:30

정부가 자랑해 마지않는 ‘케이(K) 방역’은 ‘3T’ 전략을 근간으로 한다. 3T는 검사(Test), 추적(Trace), 치료(Treat)를 뜻한다. 광범위한 검사와 역학조사로 감염자를 찾아내 격리치료하는 시스템이다. 이런 전략은 코로나19가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감염병예방법)상 ‘1급 감염병’으로 지정돼 있기에 가능했다.

감염병예방법은 위험도와 대응 방식 등에 따라 법정 감염병을 1~4등급으로 분류한다. 1급 감염병은 ‘치명률이 높거나 집단 발생의 우려가 커서 발생 또는 유행 즉시 신고해야 하고, 음압 격리와 같은 높은 수준의 격리가 필요한 감염병’이다. 코로나19(신종감염병증후군)를 비롯해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등 17종이 여기에 해당한다. 감염되면 감염병 관리 의료기관에서 입원 치료를 받아야 한다. 입원 치료와 조사, 격리 등을 거부하면 처벌받는다. 이와 같은 ‘등급별 분류 체계’는 2018년 법 개정을 통해 코로나19 국내 유행 직전인 2020년 1월부터 시행됐다. 시점이 참 공교로웠다.

‘3T’ 전략은 델타 유행 때까지는 비교적 잘 작동했다. 한국이 ‘봉쇄’ 없이 유행을 통제하는 데 성공한 몇 안 되는 나라로 꼽힌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오미크론 대유행이 시작되면서 상황은 달라졌다. 하루에 수십만명씩 확진자가 쏟아지다 보니, 역학조사(추적)와 음압병실 격리치료가 불가능해졌다. ‘3T’의 두 축이 무너진 것이다. 그동안 당연하게 여겼던 엄격한 감염 관리 기준이 오히려 걸림돌이 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음압병실 격리가 원칙이다 보니, 중환자 병상은 늘 간당간당했다. 응급 환자가 확진자라는 이유로 병상을 못 구해 소중한 생명을 잃고, 산모가 구급차에서 출산을 하는 일도 벌어졌다. 방역당국은 뒤늦게 일반 병상에서도 확진자를 치료할 수 있게 지침을 완화했지만, 법 위반 소지가 있어 일선 병원들의 동참을 끌어내기 어렵다. 정부가 코로나19의 등급을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등급을 하향하면 일상적인 의료체계의 복원이 가능해지지만 풀어야 할 과제도 많다. 동선 분리 등 병원 내 감염을 막기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 의료진과 환자들의 인식도 바뀌어야 한다. 코로나19와의 싸움, 끝까지 어렵다.

이종규 논설위원 jk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대한민국 망치는 ‘극우 카르텔’…윤석열·국힘·태극기 부대 1.

대한민국 망치는 ‘극우 카르텔’…윤석열·국힘·태극기 부대

체포 뒤에도 ‘거부 남발’ 윤석열…전략이 아니라 착각이다 2.

체포 뒤에도 ‘거부 남발’ 윤석열…전략이 아니라 착각이다

[사설] 경호처를 아부꾼으로 전락시킨 ‘윤비어천가’ 3.

[사설] 경호처를 아부꾼으로 전락시킨 ‘윤비어천가’

[사설] 체포되고도 법 무시 윤석열, “포고령 잘못 베꼈다” 궤변 4.

[사설] 체포되고도 법 무시 윤석열, “포고령 잘못 베꼈다” 궤변

[사설] 내란·체포 이후에도 궤변·트집, 이제 국민 우롱 그만해야 5.

[사설] 내란·체포 이후에도 궤변·트집, 이제 국민 우롱 그만해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