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챗GPT 등장에도 사라질 수 없는 것 [전치형의 과학 언저리]

등록 2023-03-02 18:57수정 2023-03-03 02:36

“생성 인공지능”이 왜 어딘가 익숙하게 느껴지나 했더니, 나도 챗지피티처럼 키워드 몇개를 받아 스스로 믿지 않는 문장, 정확한 근거도 없는 문장을 생성하곤 했다는 생각이 났다. 가령 연구계획서나 보고서 양식에 우리의 연구가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 “포스트휴먼 사회”, “융합” 따위에 얼마나 유용할 수 있는지 적어 넣을 때, 나는 글을 쓰는 것이 아니라 그저 문장을 “생성했다”. 머리가 아니라 손이 가는 대로 적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전치형 |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과학잡지 <에피> 편집주간

2016년 3월12일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세번째 대국이 열리는 날, 즉 인공지능이 최고의 인간 기사를 상대로 승리를 확정 짓게 될 날 발행된 조간신문 1면이 아직도 기억에 남아 있다. <한겨레>는 “로봇의 봄”이라는 제목으로 인공지능이 주도할 혁명의 기운을 전했다. 더 강렬한 인상을 준 것은 “인공지능 가라사대”라는 <조선일보> 1면 제목이었다. “의학·법률·경제 전문직까지… 그의 결정이 ‘정답’이 되는 시대 왔다”는 설명이 붙었다. 공자님 말씀을 받아 적고 따르듯이 앞으로는 인공지능의 말을 성현의 가르침으로 여기게 되리라는 전망이었다. 당시 인공지능은 인간이 거스르기 어려운 초인간적이고 비현실적인 존재였다.

2016년 모두를 들뜨게 한 약속과 전망이 과연 어떻게 됐는지 미처 검증할 겨를도 없이 ‘챗지피티’라는 새로운 인공지능 기술이 등장했다. “생성 인공지능”이라고 불리는 거대언어모델 챗지피티를 두고서도 “인공지능 가라사대” 같은 태도가 없지는 않다. “삶의 목적”이나 “인류의 미래”를 챗지피티에게 물어보는 책도 이미 나왔다. 하지만 2023년의 챗지피티는 공경하고 두려워할 성현보다는 기특하고 부지런한 조수 같은 인상이 강하다. 아는 것 모르는 것 다 긁어모아 그럴듯한 내용을 어떻게든 만들어내는, 꽤 현실적인 일을 하는 존재다. 종종 틀리기도 하고 오류를 이내 바로잡기도 할 때면 인간적이라는 느낌도 든다.

“생성 인공지능”이 생성하는 문장이 컴퓨터 화면 위로 흘러가는 것을 지켜보다가 ‘생성한다’는 말의 뜻을 생각해본다. 이때 ‘생성하다’는 ‘문장’을 목적어로 하는 타동사이지만, 간혹 ‘문장’이 주어인 자동사로 보이기도 한다. “핵반응으로 에너지를 생성하다”라고 쓸 때처럼 챗지피티는 수많은 문장을 재료로 삼아 새로운 문장을 생성한다. 그러나 “끊임없이 생성하고 소멸하는 삼라만상”이라고 할 때처럼, 챗지피티상에서 온갖 문장이 생성했다가 소멸한다고 해도 말이 될 것이다(표준국어대사전 예문). “생성 인공지능”은 나를 대신해 문장을 생성하는 것 같으면서도 그 문장에서 어떤 특별한 의지도 느껴지지 않아 흥미롭다.

생전 처음 보는 “생성 인공지능”이 왜 어딘가 익숙하게 느껴지나 했더니, 나도 챗지피티처럼 키워드 몇개를 받아 스스로 믿지 않는 문장, 정확한 근거도 없는 문장을 생성하곤 했다는 생각이 났다. 특히 2016년 알파고 열풍 이후에 그랬다. 가령 연구계획서나 보고서 양식에 우리의 연구가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 “포스트휴먼 사회”, “융합” 따위에 얼마나 유용할 수 있는지 적어 넣을 때, 나는 글을 쓰는 것이 아니라 그저 문장을 “생성했다”. 머리가 아니라 손이 가는 대로 적었다. 내 생각이 아닌 문장을 꾸역꾸역 만들어내고 나면, 이를 평가하는 사람도 별 기대나 감흥 없이 그 문장 위를 스쳐 지나갈 터였다. 그때 “생성 인공지능”이라는 도구가 있었다면 서로 진심 없이 문장을 쓰고 읽는 수고를 덜 수 있었을 것이다.

인공지능은 항상 정답을 말하는 현자인가, 기특하고 부지런한 조수인가, 또는 놀랍도록 빈칸을 잘 채우는 특급 신인 (공)저자인가. 2016년 알파고에서 2023년 챗지피티에 이르도록 이 관계는 아직 정리되지 않았다. 김대식 카이스트 교수가 챗지피티와 나눈 속 깊은 대화를 신속하게 번역하고 편집해 내놓은 책은 그 표지에 김대식과 챗지피티 둘 다 지은이라고 선언한다. 그러나 책 속에 있는 “ⓒ김대식, 2023”이라는 표시는 저자로서 이 책에 담긴 텍스트에 대한 권리와 책임이 있는 존재는 김대식 교수뿐임을 알리고 있다. 챗지피티는 하염없이 문장을 생성하면서도 저자로서 어떠한 권리도 부여받지 못한다. 2021년 “인공지능 소설가”가 썼다고 해서 잠시 화제가 된 책도 이와 비슷했다.

“인공지능 가라사대”라는 관점은 2023년에 잘 어울리지 않는다. 인공지능이라고 해서 항상 정답을 내놓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우리는 충분히 배웠다. “로봇의 봄”도 아직 미완성이다. 인공지능이 끝없이 문장을 생성하는 혁명적인 단계에 도달했다고 해도 우리가 글을 써야 하는 이유가 사라지지는 않는다. 챗지피티를 두고 사람들은 앞으로 이렇게 글을 써야 한다거나 저렇게 살아가야 한다고 설파할 것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누군가 던져주는 키워드에 휘둘리지 않고 스스로 믿는 바를 글로 써 내려가는 마음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사설] 대결정치·여사의혹·정책실패만 남은 윤 대통령 전반기 1.

[사설] 대결정치·여사의혹·정책실패만 남은 윤 대통령 전반기

트럼프와 코인, 뜻밖의 밀월 [헬로, 크립토] 2.

트럼프와 코인, 뜻밖의 밀월 [헬로, 크립토]

“나는 금투세 내겠소”, 듣고 싶었던 그 말 [아침햇발] 3.

“나는 금투세 내겠소”, 듣고 싶었던 그 말 [아침햇발]

[사설] 정권퇴진 집회 강경대응한 경찰, 국민과 싸우겠다는 건가 4.

[사설] 정권퇴진 집회 강경대응한 경찰, 국민과 싸우겠다는 건가

참모들은 왜 윤 대통령 회견 말리지 않았나 5.

참모들은 왜 윤 대통령 회견 말리지 않았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