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에 다시 찾아갈 계획을 세웠다. 인터넷 지도를 펴고 내가 살았던 성건동 집을 찾아보았다. 동네가 많이 변해서 로드뷰를 이리저리 돌려보아도, 내가 뛰어놀던 골목을 찾는 게 쉽지 않았다. 맨 처음 경주를 다시 찾아갔던 건 스물세살 때였다. 십년 만에 다시 찾아간 그 동네엔 내가 식별할 만한 게 아무것도 남아 있지 않았다. 그래도 길을 걷다가 이 어름일 것 같다는 느낌만으로 멈춰섰고 어느 집 대문 안을 살짝 들여다보았다. 어린 시절 부모님이 북천에서 주워다 심어둔 석상이 마치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는 듯이 마당에 그대로 있었다. 뵌 적은 없지만 본 적은 있는, 조너선의 할머니가 떠오른다. 스코틀랜드 사람 조너선은 휴대폰을 꺼내 내게 보여준 적이 있다. 구글지도를 열어, 자기 고향집이 있는 에든버러 외곽을 보여주었다. 화면을 확대하며, 외딴집 지붕 하나를 가리켰다. 자신이 이 집에서 태어났다며, 화면을 더 확대해 보였다. 집 마당에 서서, 호스를 손에 들고 잔디에 물을 주고 있는 사람이 보였다. 이분이 자기 할머니라며 조너선은 활짝 웃었다. 지도에다 대고 “안녕? 할머니!” 하고 인사했다. 조너선은 할머니가 보고 싶을 때마다 이 위성사진을 확대해 바라본다 했다. 우리 집 마당의 석상은 조너선의 할머니처럼 아직 거기에 있을까. 유년 시절의 내게는 거대하고 우람한 형상이었던 돌. 실은 그저 그런 돌이지만, 거기서 내가 가장 행복한 유년을 보냈다는 걸 증명해주는 내게는 유일한 이미지인 돌.
김소연 시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