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2030 잠금해제] 방을 구하며 / 오혜진

등록 2015-08-16 18:32

한주 내내 방을 보러 다녔다. 늘 생각만 하던 ‘자취’를 실제 행동으로 옮겨보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온갖 주거형태에 대한 정보와 자취의 노하우가 제공되는 인터넷카페와 앱들은 그야말로 ‘신세계’라 할 만했다. 거기 소개된 수백개의 방을 사진으로 본 다음, 마음에 드는 몇 곳을 직접 방문하는 일을 거듭하는 게 ‘방 구하기’의 전형적인 방법이었다. 낯선 동네를 헤매며 내 한 몸 누일 곳을 찾는 일, 그리고 그것을 계속 거절당하는 일은 내게 아주 깊은 ‘위축’의 경험을 남겼고, 자취에 대한 낭만적인 생각도 금세 사그라들었다. 집 떠난 친구들이 왜 그냥 본가에 꼭 붙어 있으라고 말하는지 알 것 같았다.

그나마 위안이 됐던 건, 나 같은 청년들이 아주 많다는 사실이었다. 열 개의 방을 보는 건, 열 명의 삶을 방문하는 것과 같았다. 그 방들을 찬찬히 둘러보면서, 그들이 여기 살았으므로 나도 그럴 수 있겠다고 생각했고, 다시 조금 용기가 났다. 그런 뒤늦은 ‘재사회화’의 경험을 하고 나니, 부동산 업자들이 보여주는 방과 그곳의 살림들이 왠지 낯설지가 않았다. 좁은 방에 이런저런 살림을 부려놓고 복닥거리며 사는 내 모습이 별 이질감 없이 상상됐다.

그 와중에 흥미로운 건, 주인 없는 집의 방문을 무람없이 열어젖히며 혀를 끌끌 차는 일부 집주인들과 부동산 업자들의 태도였다. 그들은 여기저기 널브러진 가재도구와 옷가지들을 내려다보며, ‘젊은 애들은 왜 이렇게 정리도 안 하고 사냐’고 한숨 쉬었다. 하루에도 몇 차례씩 ‘월세 좀 낮춰줄 순 없나요?’ 따위의 질문을 받으며 살 이들이 보기에, 이 방을 거쳐가는 청년들은 참으로 한심하고 대책 없던 것이다. 하지만 내가 보기엔, 수납은커녕 두 발 뻗기에도 비좁은 그 방에서 물건들을 일일이 정리하며 산다는 게 더 불가능한 일 같았다.

그러고 보니 숱하게 들어왔다. ‘청년들은 왜 저항하지 않는가, 젊은 세대는 왜 이렇게 무기력한가, 젊은 비평가들은 왜 침묵하는가’ 등등. 하지만 ‘젊은 세대’가 처한 저항 불가능의 조건과 침묵의 구조를 묻지 않는 이 물음들은 폭력적이다. 비록 그게 기성세대가 독점하는 권력과 발언권을 축소시켜야 한다는 ‘바람직한’ 취지의 질문이라고 해도 그렇다. 애당초 ‘권력’이란 대상이 놓인 위치와 조건에 무관심할 수 있는 자유에 다름없으니 말이다. 그러므로 그 물음들은 우선 질문자에게 되물어져야 할 것이다.

‘젊은 세대’가 제 목소리를 낼 수 있어야 한다는 말은 기성세대의 관용과 시혜를 바란다는 말이 아니다. 흔히 비판되는 것처럼 ‘어설픈’ 세대론은 더더욱 아니다. 모든 문제를 세대론으로 접근하는 것에 한계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세대론적 문제’ 자체를 비가시화해서도 안 되기 때문이다. 지금 현재 주거, 노동, 여가, 연애, 소비, 건강 등 거의 모든 영역에서 보이는 ‘젊은 세대’의 존재방식은 우리 사회의 성격과 건강성을 가늠할 수 있는 리트머스지와 같다. 그것이 ‘젊은 세대는 왜 ~하지 않는가’라는 질문의 효용이, 단순한 멸시나 질타를 넘어 더 폭넓게 사고되어야 하는 이유다.

오혜진 근현대문화 연구자
오혜진 근현대문화 연구자
무엇보다 젊은 세대 스스로도 그 질문을 ‘신자유주의적 경쟁에서 패배한 개인들의 변명’으로 치부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개인의 성실함과 탁월함은 이 사회의 병리적 구조와 무관하지도, 그것을 뛰어넘을 만큼 전지전능하지도 않다. 우리의 행복과 불행은 반드시 다른 누군가와 연루되어 있으니 말이다.

오혜진 근현대문화 연구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내란을 일으키려다 사형당하다 1.

내란을 일으키려다 사형당하다

[사설] 윤석열·국힘의 헌재 흔들기 가당치 않다 2.

[사설] 윤석열·국힘의 헌재 흔들기 가당치 않다

나라야 어찌 되든, 윤석열의 헌재 ‘지연 전략’ [뉴스뷰리핑] 3.

나라야 어찌 되든, 윤석열의 헌재 ‘지연 전략’ [뉴스뷰리핑]

앞으로도 우린 파쇼와 싸우게 된다 [아침햇발] 4.

앞으로도 우린 파쇼와 싸우게 된다 [아침햇발]

트럼프의 MAGA, 곧 동아시아로 온다 [세계의 창] 5.

트럼프의 MAGA, 곧 동아시아로 온다 [세계의 창]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