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회전을 해야 하는데, 갑자기 체증이 일어났다. 내 차선에서만 유독 길이 막혔다. 승합차 한 대가 정차되어 길을 막고 있었다. 이런 우회전 코너에 누가 정차를 하나 싶어 흘낏 째려보게 되었다. 차의 측면에는 ‘공무집행’이라는 네 글자가 적혀 있었다. 그 차에서 내렸을 법한 두 남자가 가로수 사이에 현수막을 매달고 있었다. 설날 인사를 주민들에게 건네는, 별것 아니라면 별것 아닌 내용이었다. 몇 개의 현수막이 더 있을 테고, 다른 코너 다른 가로수에도 똑같은 현수막이 설치됐거나, 될 것이다. 아마도 매번 불법주차를 자신있게 할 것이다. 지나가는 다른 차량들이 불편을 겪을 테고, 나처럼 잠시 째려보느라 정차된 차를 살펴볼 것이다. 그럴 때 ‘공무집행’이라는 네 글자는 어떤 생각을 낳게 할까. 공무집행 중이니까, 저것은 불법이 아니고 정당한 일이라고 생각하게 될까. 공무원들의 업무일수록 더 준법적이어야 한다고 혀를 쯧쯧 차게 될까. 다른 직종의 사람들이 교통 흐름을 방해하며 정차하고 있었을 때와 달리, 판단이 복잡해진다. 공무집행일수록 더 준법적일 필요까지는 없지만, 공무집행도 준법적이었으면 싶다. 공무원이 되었든 경찰관이 되었든, 그 어떤 직업이 되었든 간에, 법 앞에서 특권을 누리는 이런 모습은 우리 사회가 아직도 미개하고 아직도 멀었다는 좌절을 느끼게 한다. 작은 일이었지만, 멀고 멀었다는 좌절에 대한 객관적 측량은 큰일을 겪었을 때와 다르지 않았다.
김소연 시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