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말글살이] 대화의 어려움 / 김하수

등록 2018-03-04 18:19수정 2018-03-04 19:01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누구든지 대화라는 말을 들으면 평화롭고 아기자기한 분위기를 머리에 떠올린다. 커피 향이 퍼지고 부드러운 음악이 흐르는 곳, 그런 곳에서 웃음꽃이 피어나는 대화를 연상하는 사람은 분명히 낭만주의자다. 그러나 대화의 실상은 싸움의 또 다른 실존적 모습이기도 하다.

부부 사이에 진지한 대화 한번 해보자고 하면 자칫 부부싸움이 되기 쉽다. 괜한 짓 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선생이 학생한테 대화 좀 하자고 하면 반갑기보다는 금방 긴장 상태에 들어간다. 반대로 학생이 선생한테 상담 한번 해달라고 해도 선생은 은근히 긴장한다. 현실적으로 해결이 잘 안되는 것이 대화의 의제가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노사 간에 대화를 하다가 삐끗하면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우리는 익히 보아왔다. 여야 간의 대화도 마찬가지다. 한번 대화하다가 말이 어긋나기 시작하면 금방 뉴스는 시끄러워지고 국회는 헛돈다. 온갖 휴전회담은 마치 전투를 재개할 핑곗거리를 찾는 대화처럼 보인다. 대화 중에서 가장 싸움을 하지 않는 대화는 상인들의 대화이다. 최선을 추구하지만 어려우면 차선도 마다하지 않는다. 차선이 어려우면 또 그다음을 찾아간다.

즐거운 축제는 지나가고 골치 아픈 대화의 시기가 돌아왔다. 남과 북의 대화도 잘해 나가야 한다. 우리와 자손들의 명운을 가르는 만남이다. 미국과의 무역 문제도 의미 있는 대화로 풀어나갔으면 한다. 먹고사는 문제가 걸려 있다. 그런가 하면 일본과도 피할 수 없는 대화의 쟁점들이 남아 있다. 우리의 자존심과 공동체의 정당성을 보장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너무 큰 욕심 내지 말고, 이익을 서로 나누도록 하며, 아무도 자존심을 상하지 않는 지혜로운 타협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전쟁에서의 승리보다 대화에서의 이익이 훨씬 값지기 때문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내란을 내란이라 부르지 못하는 21세기 ‘벌열’ [.txt] 1.

내란을 내란이라 부르지 못하는 21세기 ‘벌열’ [.txt]

[사설] 자신 위해 싸우라는 윤석열의 ‘옥중 정치’, 불복 선동하는 것인가 2.

[사설] 자신 위해 싸우라는 윤석열의 ‘옥중 정치’, 불복 선동하는 것인가

죽은 자가 산 자를 살리는 ‘양심의 구성’ [강수돌 칼럼] 3.

죽은 자가 산 자를 살리는 ‘양심의 구성’ [강수돌 칼럼]

[사설] ‘모든 책임 지겠다’는 사령관, 내 책임 아니라는 대통령 4.

[사설] ‘모든 책임 지겠다’는 사령관, 내 책임 아니라는 대통령

뜨거워지는 북극, 얼어붙는 대륙 [김형준의 메타어스] 5.

뜨거워지는 북극, 얼어붙는 대륙 [김형준의 메타어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