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말글살이] 속담 순화 / 김하수

등록 2018-04-01 18:08수정 2018-04-01 19:04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속담은 장삼이사 김지이지 이 세상 보통 사람들이 살아가며 느낀 바와 깨달은 바를 압축적으로 표현해 놓은 일종의 경구들이다. 그러한 어구에는 수많은 민초들의 삶에서 체험되고 재현되어 온 지식들이 더께더께 덧쌓여 있다. 그러나 어쩌랴! 이러한 민초들의 집단 지식에도 심각한 남성 중심의 편견이 여기저기 깔려 있는 것을.

속담 가운데 여성과 연관되는 항목만 찾아보면 여지없이 민망할 정도로 여성을 능멸하거나 깔보는 말이 여기저기 널려 있다. 가장 밑바닥에서 서로 의지하며 살아온 기층 서민들 속에서도 여성들은 또 한번 사정없이 짓밟힌 것이다. ‘여자’나 ‘아낙’이라는 단어는 그중 점잖은 편이고 주로 ‘계집’ 혹은 무슨 ‘년’이라는 표현이 흔하다.

국어학자나 사전 편찬자들의 덕목은 이러한 속담도 ‘귀한 언어 자원’ 혹은 ‘유산’으로 소중히 다루는 것이다. 그러나 “여자는 사흘을 안 때리면 여우가 된다”는 식의 구절을 속담집이나 사전에 그대로 올리는 것이 과연 ‘윤리적으로’ 타당한가? 요즘 성추행이나 성폭력에 분노하는 흐름에 비추어 본다면, 가해자들이 여성에 대한 온갖 추잡한 표현이 사전에 버젓이 나와 있더라고 핑계를 대도 할 말이 없을 지경이다.

시대가 변하면 안 쓰이는 말이나 기억에서 멀어지는 말도 생긴다. 예를 들어 그리 많이 쓰이던 ‘레지’라는 말은 어느새 가물가물한 옛말이 되었고, ‘괴뢰’라는 말은 두메산골의 사투리 같은 느낌이 날 정도가 되었다. 시대가 지나가고 딴 세상이 된 것이다. 이젠 국어학자들도 사전에서 성평등에 어긋나는 속담들을 거두어들일 때가 된 것 같다. 그런 속담들은 이제 전문가용 ‘연구 자료 수첩’이나 과거의 사회상을 보여주는 ‘특수한 역사 자료집’ 속에 갈무리해 두어야 할 때가 된 것이다. 그것이 우리가 참여해야 할 역사의 흐름이기도 하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내란을 내란이라 부르지 못하는 21세기 ‘벌열’ [.txt] 1.

내란을 내란이라 부르지 못하는 21세기 ‘벌열’ [.txt]

[사설] 자신 위해 싸우라는 윤석열의 ‘옥중 정치’, 불복 선동하는 것인가 2.

[사설] 자신 위해 싸우라는 윤석열의 ‘옥중 정치’, 불복 선동하는 것인가

죽은 자가 산 자를 살리는 ‘양심의 구성’ [강수돌 칼럼] 3.

죽은 자가 산 자를 살리는 ‘양심의 구성’ [강수돌 칼럼]

[사설] ‘모든 책임 지겠다’는 사령관, 내 책임 아니라는 대통령 4.

[사설] ‘모든 책임 지겠다’는 사령관, 내 책임 아니라는 대통령

뜨거워지는 북극, 얼어붙는 대륙 [김형준의 메타어스] 5.

뜨거워지는 북극, 얼어붙는 대륙 [김형준의 메타어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