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을 올바르게 쓴다고 하면 대개는 문법이나 맞춤법을 틀리지 않게 하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런데 사실 맞춤법이나 발음이 틀려 오해를 빚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오히려 맥락에서 어떤 ‘의도’를 의심받을 때 사태는 심각해진다. 그래서 말실수를 했으면 ‘적대적 의도’가 없었음을 이해시켜야 한다. 만일 그런 노력을 안 하고 방치하면 그것은 ‘언어적인 도발’이다.
세월호 참사가 났을 때 일부 정치인들이 ‘교통사고’라든지 ‘세금도둑’이라는 말을 내뱉어 지탄을 받았다. 분명한 의도가 있는 도발이었다. 정치적인 이해관계로 윤리적인 맥락을 비틀어버린 것이다. 만일 박정희 대통령 피살 사건도 ‘총기사고’라 한다면 어찌 될까? 총을 쏜 사람의 행동은 안 보이게 된다. 결국은 말하는 이의 ‘의도’에 다른 뜻이 있는 것이다.
일본 정부는 일제 때 징용당했던 조선인들을 이제부터 ‘구 조선반도(한반도) 출신 노동자’라고 일컫기로 했다 한다. ‘징용’이라는 의미가 사라진 것이다. 곧 무엇을 ‘의도’하는지가 뻔히 보인다. ‘강제로’ 끌려갔다던 노동자들이 삽시간에 ‘피해자’가 아닌 보통의 ‘취업자’들이 된 것이다. 그들이 보통의 취업자들이었다면 이른바 ‘강점기’니 ‘식민지 시대’니 하는 말들 모두 일종의 착시 현상에 지나지 않게 된다.
이럴 때 왜 그들이 그렇게 고통스럽게 일했는지 그리고 어떤 피해를 입었는지 끈질기게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자면 ‘위안부’ 할머니들 문제에서처럼 ‘피해자 중심의 접근’이 중요하다. 2차 대전 때 큰 피해를 입은 유대인들에 대한 유대감이 당시 연합국의 승리를 더욱 값지게 한 것과 같다. 유대인들도 무언가 잘못한 것이 있어서 죽은 것 아니냐고 묻는다면 그야말로 전쟁 이후의 모든 보편적 윤리와 가치를 전면적으로 부인하는 도발이 될 것이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