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국어 연구의 선구자로 잘 알려진 주시경은 백운동 서원을 세운 주세붕의 후손으로 1876년 12월22일에 황해도 봉산에서 태어났다. 며칠 있으면 그의 생일이다. 그는 배재학당에 다니며 <독립신문>에서 교정을 맡아 일하면서 우리 국어의 현실을 마주하며 세상 문제에 눈을 뜨게 되었다. 그는 남대문 근처에 있는 상동교회의 야학 교실을 비롯하여 중앙, 이화, 휘문 등에서 강의를 하였고 그를 따르는 제자들과 학회 활동을 하며 훗날 국어학 연구와 언어 운동의 대들보 노릇을 한 후계자들을 길러냈다. 그러나 하늘이 무심하였는지 비교적 젊은 나이에 세상을 하직하여 그 열매를 직접 거두지는 못했다. 이 과정에서 그에게서 직접 배우거나 영향을 받은 후계자들의 이름은 이후 국어를 연구하고 가르치는 일에 헌신했던 사람들의 명단이 되었다. 그들은 ‘조선어학회’를 조직하여 식민지 시대의 국어 운동을 지켜 나갔다. ‘맞춤법 통일안’을 제안했고 ‘표준어’를 정비했으며, 잘 알려져 있다시피 이른바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많은 학자와 활동가들이 옥고를 치렀고 그 과정에서 일부는 유명을 달리했다. 광복 이후 국토만 분단된 것이 아니었다. 그의 후계자들 가운데 일부는 스스로 품었던 신념에 따라 북을 선택했다. 그의 후계자들도 분단이 된 것이다. 이렇게 남북으로 나뉜 후계자들은 갈라진 반쪽 땅에서도 묵묵히 언어를 갈고 다듬는 일에 종사했다. 그러다가 서로의 정치적 상황에 훈풍이 불면 스스럼없이 함께 모여 학술 토론회도 했다. 남과 북에서 보기 드물게 함께 존경을 받는 사람을 꼽으라면 아마도 주시경을 그 첫째로 꼽아야 할 것이다. 한동안 진척을 못 보다가 이번에 국회의 뒷받침으로 다시 일을 추진하게 된 ‘겨레말큰사전’ 편찬도 돌이켜보면 이때 주시경이 착수했던 ‘말모이’라는 사전의 계승 작업 가운데 하나가 아닐까 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