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낡은 사회를 개혁해서 새로운 사회를 만드는 일은 생각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취지는 좋으나 방법이 서툰 탓일 수도 있고, 주도세력이 너무 성급하게 군 탓일 수도 있다. 서울시교육청이 ‘조직문화 혁신방안’을 마련했는데 언어와 연관되는 것이 ‘수평적 호칭제’라는 것이다. 서열이나 차별이 없는 평등한 호칭을 사용해보자는 좋은 취지로 보인다. 처음에는 교사와 학생 간에 같이 별명도 사용하며 수평적 호칭을 쓰자는 제안으로 알려져 비판이 쏟아졌다. 그러나 이것이 교사들 사이 혹은 교사들과 행정부처 사이의 호칭을 수평화하자는 것이라면 중요한 의미가 있다. 우리의 호칭 체계가 사회 구석구석 권위의식과 차별의식을 뻗어나가게 하는 넝쿨손이 되어버린 만큼 교육계가 시범을 보이자는 뜻은 획기적이다. 그러나 그 과정이 무척 서툴렀다. 교사들 사이에서는 이미 ‘선생님’이라는 호칭이 범용화되어 있는 것 같다. 거기에다 권위적으로 보이는 ‘장학관님’이라든지 선생님이란 말 앞에 ‘직위’를 붙이는 호칭을 삼가도록 하는 ‘공공용어 개선’을 추진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을 것 같다. 여기에다가 일종의 통속어인 ‘쌤’ 같은 말을 예로 든 것은 어처구니없는 패착이었다. 통속어는 규범적 언어도 아니지만 금기어도 아니다. 서로 마음이 통하면 쓸 수도 있는 말이다. 그런데 그런 말을 ‘공문서’에 문서화했다는 것은 감성적 언어를 참 무신경하게 다룬 것이다. 종종 졸업생들이 스승의 날에 다정한 편지를 쓰면서 사용하기도 하는 이 단어를 이제는 함부로 입 밖에 꺼내기도 어렵게 만들었다. 교육감의 말처럼 교사들을 중심으로 수평적 호칭을 사용하도록 노력하고 교사와 학생 사이는 다정한 호칭을 쓸 수 있는 기본 환경부터 조성해야 한다. 감성적 언어를 공문서를 통해 하명하려고 했다는 그 발상 자체가 너무 답답하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