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말글살이] 1도 없다 / 김진해

등록 2019-06-23 17:10수정 2019-06-24 14:06

문화방송의 [리얼 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 갈무리
문화방송의 [리얼 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 갈무리
“4시가 뭐냐, 네시라고 써야 한다.” 선생님은 학생을 보면서 꾸짖었다. 말소리에 맞춘 표기가 자연스럽다는 뜻이자, 표기란 그저 말소리를 받아 적는 구실을 할 뿐이라는 생각이다. 신문에는 ‘7쌍의 부부 중 5쌍은 출산했고, 1쌍은 오는 10월 출산을 앞두고 있다’고 쓰여 있다. 이런 기사는 읽기에 껄끄럽다. ‘칠쌍’으로 읽다가 다시 ‘일곱쌍’으로 바꾸어야 한다. 머릿속 전광판에 ‘7(칠)’과 ‘일곱’이 동시에 껌뻑거린다. 문자와 발음이 어긋나 생기는 일이다.

‘하나도 없다, 하나도 모른다’를 ‘1도 없다, 1도 모른다’로 바꿔 말하는 게 유행이다. 표기가 말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걸 보여준다. 한국어에 서툰 어떤 가수가 ‘뭐라고 했는지 1도 모르겠’다고 쓴 게 발단이었다. ‘1도 없다’는 한자어와 고유어라는 이중체계를 이용한다. 고유어 ‘하나’를 숫자 ‘1’로 적음으로써 새로운 말맛을 만든다. 아라비아숫자를 쓰면 고유어보다 ‘수학적’ 엄밀성 비슷한 느낌을 받는다. ‘예순두살’이라고 하면 삶의 냄새가 묻어 있는 느낌인데, ‘62세’라고 하면 그냥 특정 지점을 콕 찍어 말하는 느낌이다. 소주 ‘한병씩’보다 ‘각 1병’이라고 하면 그날 술을 대하는 사람의 다부진 각오가 엿보인다. 이 칼럼에 대해 ‘재미가 하나도 없다’고 하는 사람보다 ‘재미가 1도 없다’고 하는 사람에게 이가 더 갈릴 것 같다.

여하튼 변화는 가끔은 무지에서, 가끔은 재미로 촉발된다. 새로운 표현을 향한 인간의 놀이를 누가 막을 수 있겠는가. 미꾸라지가 헤엄치는 웅덩이는 썩지 않는다.

김진해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헌법재판관 흔들기, 최종 목적이 뭔가 [2월3일 뉴스뷰리핑] 1.

헌법재판관 흔들기, 최종 목적이 뭔가 [2월3일 뉴스뷰리핑]

우리는 정말 ‘정치 양극화’에 반대하나 [강준만 칼럼] 2.

우리는 정말 ‘정치 양극화’에 반대하나 [강준만 칼럼]

헌법이 구타당하는 시대 [세상읽기] 3.

헌법이 구타당하는 시대 [세상읽기]

내란을 일으키려다 사형당하다 4.

내란을 일으키려다 사형당하다

“고용도 인연인데, 어떻게 인연을 이렇게 잘라요?” [6411의 목소리] 5.

“고용도 인연인데, 어떻게 인연을 이렇게 잘라요?” [6411의 목소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