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회가 국회에서 운영하는 카페 수익금으로 비자금을 조성하고 이 중 일부를 개인적으로 사용한 의혹을 받고 있는 김원웅 광복회장이 16일 사퇴했다. 광복회장의 사퇴는 1965년 광복회 설립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김 회장은 이날 발표한 입장문에서 “광복회의 명예에 누를 끼친 것에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며 사퇴 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사람을 볼 줄 몰랐고 감독 관리를 잘못해서 이런 불상사가 생긴 것, 전적으로 제 불찰”이라며 의혹에 대해서는 여전히 부인했다. 김 회장은 또 “저는 반평생을 친일 청산에 앞장서 왔다. 친일 반민족 언론 조선일보와 대척점에 서서 싸워왔다”며 “그 조선일보, TV조선에 의해 제가 무너지는 것이 더 가슴 아프다”고 했다.
김 회장의 의혹은 지난달 25일 TV조선이 처음 보도했고 이어 보훈처가 특정감사에 들어갔다. 보훈처는 지난 10일 감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광복회가 국회 카페 중간거래처를 이용해 허위 발주와 원가 과다 계상 등의 방법으로 6100만원의 비자금을 조성했으며 이 중 1000만원가량이 김 회장 개인 통장으로 입금된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보훈처는 김 회장이 이 돈을 한복·양복 구입비, 이발비, 직원 상여금 등에 사용했다고 했다. 또 김 회장이 광복회관 내 사무실을 자신의 친인척이 관련된 회사가 임의로 사용하게 한 사실도 확인됐다고 했다. 그러나 보훈처는 감사의 한계를 들어 김 회장을 경찰에 수사 의뢰했다. 김 회장은 감사 결과에 대해 “명백한 명예훼손”이라고 반발했으나, 회원들의 요구로 회장 해임 투표를 위한 임시총회가 18일로 잡히고 정치권에서도 사퇴 압박이 나오자 스스로 물러난 것이다.
광복회는 순국선열과 독립유공자의 희생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설립된 단체이며, 국회 카페는 수익금을 국가유공자 자녀에게 장학금으로 주기 위해 운영돼왔다. 이를 일부라도 사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런 의혹이 나오는 것 자체가 순국선열을 욕되게 하는 일이다. 그런데도 김 회장은 자성의 모습은 보이지 않고 직원 잘못과 언론 탓만 했다. 누구보다 명예를 중시해야 할 광복회장으로서 부끄러운 모습이 아닐 수 없다.
복잡한 사건이 아닌 만큼 경찰이 수사에 나서면 조만간 진상이 밝혀질 것이다. 경찰은 신속하고 철저하게 수사를 진행하고 김 회장도 성실히 응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