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의 박홍근 신임 원내대표 후보가 2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3기 원내대표 선출을 위한 의원총회에서 정견 발표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더불어민주당의 새 원내대표에 3선의 박홍근 의원이 선출됐다. 박 의원은 24일 치른 원내대표 경선에서 유력 경쟁자인 박광온 의원을 누르고 21대 하반기 국회에서 ‘제1야당’인 민주당을 이끌 원내 사령탑에 올랐다. 박 의원은 ‘친이재명계’로 분류된다.
박 신임 원내대표는 윤호중 공동비상대책위원장과 손발을 맞춰 대선 패배로 5년 만에 야당의 자리로 돌아간 민주당을 정상 궤도에 올려놔야 할 책임을 떠안게 됐다. 당의 유일한 ‘선출 지도부’로서 원내대표 경선 과정에서 노출된 계파 갈등을 수습하고 당의 에너지를 하나로 모으는 게 급선무다. 정권 재창출 실패로 당의 구심력이 약화된 상황에서 대선 패배 책임론이 불거지고 계파 갈등까지 표면화될 경우 172석 민주당은 덩치만 큰 ‘초식 공룡’으로 전락할 위험이 상존하는 까닭이다.
5월 출범하는 윤석열 정부와 ‘생산적 긴장관계’를 만드는 일도 중요하다. 만약 새 정부가 ‘0.7%포인트 격차’라는 대선 민심을 망각하고 승리감에 취해 ‘독선’ ‘독주’의 길을 걷는다면 이를 견제할 일차적 책임은 제1야당에 있다. ‘문재인 식만 아니면 전부’(Anything But Moon)라는 태도로 인권·평화·생태 등 양보할 수 없는 가치를 훼손하려 한다면 당의 사활을 걸고 싸워야 한다. 그러나 ‘국익’과 ‘민생’이 걸린 문제에선 초당적 협력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코로나 위기 극복과 불평등 해소라는 중차대한 과제 앞에선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과거 야당들처럼 ‘상대의 실패가 우리의 기회’라는 생각에 사로잡혀 사사건건 집권여당의 발목을 잡는 행태를 보인다면 또다시 국민의 준엄한 심판을 받을 것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대선 기간에 약속한 정치개혁 과제들도 우선순위를 정해 차질 없이 완수하기를 바란다. 촛불의 열망과 기대를 안고 출범한 문재인 정부가 5년 만에 정권을 내놓게 된 데는 적대적 양당 구조가 초래한 대결 정치의 관성에서 민주당 역시 자유롭지 못했던 책임이 크다. 다당제 정착을 위한 선거제도 개선과 책임총리제 도입이 절실하다. 이를 위해선 제1야당의 기득권 내려놓기가 선행되어야 한다.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 특권부터 스스로 줄여나가는 일에 제1야당이 앞장선다면 개혁의 대의와 진정성도 인정받게 될 것이다. 박홍근 원내대표의 어깨가 무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