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도덕성 문제로 동시에 곤경에 처했다. 더민주는 ‘가족 채용 논란’ 등으로 물의를 빚고 있는 서영교 의원에 대한 감찰조사에 착수했다. 국민의당은 총선 홍보비 리베이트 수수 의혹 사건으로 회계 실무 당직자가 구속되고, 현역 의원 두 명도 형사처벌을 당할 위기에 직면했다. 두 당의 지도부는 검찰수사와 감찰조사 결과에 따른 “엄정하고 단호한 조처”를 약속하고 있으나, 지도부 역시 안이한 대응을 해왔다는 점에서 비판에서 벗어날 수 없다.
더민주의 경우 당이 서 의원의 가족 채용 문제 등을 총선 공천 과정에서 알고 있었는지가 새로운 쟁점으로 떠올랐다. 당시 공천관리위원회 심사 과정에서 서 의원의 친인척 채용이 문제가 돼 공천에 대한 결론이 유보됐으나 당 지도부가 정무적 판단으로 공천했다는 증언이 나오고 있다. 더민주는 ‘로스쿨 아들 구제’ 의혹과 ‘시집 강매’ 논란을 빚은 신기남·노영민 전 의원에 대해서는 중징계 결정을 내려 공천에서 배제한 바 있다. 서 의원과 이들 의원 간의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밖에 없다.
더민주의 감찰조사는 이제 단순히 서 의원 개인에 대한 조사와 징계로 끝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당이 서 의원의 윤리 위반 행위를 안 시점이 언제인지, 총선 심사 과정에서 어떤 잣대와 판단을 적용해 공천을 주게 됐는지를 상세히 조사해 공개해야 할 것이다.
국민의당 총선 홍보비 리베이트 수수 의혹 사건은 27일 당시 사무총장을 지낸 박선숙 의원이 검찰에 출석하면서 정점으로 치닫고 있다. 이번 사건이 당직자 개인의 일탈 행위 차원을 넘어 당 차원의 조직적 개입이 있었다는 수사 결과가 나올 경우 메가톤급 후폭풍이 몰아칠 게 분명하다. 국민의당은 자체 진상조사를 벌여 “문제없다”는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왕주현 사무부총장이 정치자금법 위반 등의 혐의로 구속되면서 ‘셀프 면죄부’는 도리어 세간의 큰 비웃음거리가 되고 말았다.
도덕성은 야당에는 가장 강력한 무기이자 힘의 원천이다. 두 당은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스스로 치부를 낱낱이 드러내겠다는 각오를 다져야 한다. 뼈를 깎는 반성, 가혹할 정도로 과감하게 환부를 도려내는 결단 없이는 성난 유권자의 마음을 되돌릴 수 없음을 깨닫기 바란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