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한때 ‘칭찬합시다’라는 방송 프로가 꽤 인기를 끌기도 했다. 또 학교나 회사에서는 ‘칭찬 릴레이’라는 것이 조직 내 분위기를 훈훈하게 하는 목적으로 행해지기도 한다. 그 모두 칭찬의 사회적 효용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더니 확실히 칭찬은 격려와 응원의 동력이 되는 게 사실이다. ‘칭찬’이라는 행동의 구조는 참으로 흥미롭다. 먼저 칭찬할 만한 행위를 찾아야 한다. 착한 일을 했다든지 자랑스러운 일을 했다든지 하는 것들 말이다. 그리고 그것을 해낸 사람에게 그 행위의 가치를 높이 기리는 말을 해 준다. 좀 과장을 해도 절대 무례한 일이 아니다. 그럼 거의 예외 없이 칭찬 들은 사람들은 자신의 행위를 낮추며 겸양을 나타낸다. 그러면 또다시 칭찬을 퍼붓는다. 그리고 또 그것을 부정하는 겸양이 되풀이된다. 이것이 칭찬이 가져오는 일종의 긴장 국면이다. 그래서 어찌 보면 말다툼의 양상하고 거의 비슷한 긴장감도 감돈다. 그렇게 칭찬과 부정이 반복되며 팽팽한 긴장이 임계점에 이르는 순간 칭찬받는 사람이 그 칭찬을 수용함으로써 팽팽함이 끝난다. 그리고 그 두 사람의 우호 관계는 더 돈독해진다. 이것이 칭찬 활동의 구조인 동시에 칭찬이 사회에 긍정적으로 미치는 영향이다. 칭찬은 사회적으로 유대감을 강화하는 매우 귀중한 언어활동 가운데 하나인 것이다. 국제 관계도 마찬가지이다. 보기 드물게 우리의 외교 활동이 강대국들의 바둑판을 흔들어 놓았다. 백여년 동안 바둑판에서 흔들리기만 하던 우리 남과 북이 참으로 재치있게 칭찬의 한 수를 함께 놓았다. 한동안 터져버릴 것 같은 긴장의 말다툼 구조에서 절묘하게 칭찬의 구조로 갈아탄 것이다. 이젠 바야흐로 고래들이 춤출 차례이다. 그리고 우리는 고래들의 춤을 구경할 순서가 된 것 같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