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행사건으로 시작한 서울 강남의 유명 클럽 ‘버닝썬’을 둘러싼 의혹이 성폭행, 마약, 경찰 유착 등으로 걷잡을 수 없이 번지고 있다. 경찰은 24일 대대적인 마약 소탕 계획과 함께 유착 의혹에 대해 강도 높은 감찰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뒤늦은 대응이요, ‘셀프 수사’가 될 거라는 비판이 나오는 현실을 경찰은 엄중히 인식해야 한다.
지난 한달 새 ‘버닝썬’ 사건은 일개 클럽 문제가 아닌 사회 문제가 됐다. 마약을 이용한 성범죄 의혹 등도 경악스럽지만 논란이 증폭된 건 뭐라 해도 경찰과의 유착 의혹 때문이다. 실제 미심쩍은 정황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지난 1년간 이 클럽과 관련해선 모두 122건의 112신고가 있었는데 납치감금, 마약, 성추행 피해 및 목격, 폭행 피해 및 목격 등이 상당수라고 한다. 그런데 현행범 체포는 8건에 그쳤다. 지난 주말 검찰이 보완수사 지시를 내리긴 했지만, 전직 경찰관 출신 기업인은 미성년자 출입 건 무마를 위해 버닝썬으로부터 받은 돈을 강남경찰서 소속 경찰 두명에게 건넸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특히 이 클럽이 입주했던 호텔 대표가 버닝썬에 지분 투자를 하고 거액을 빌려준 사실이 드러난 데 이어 강남서 경찰발전위원회 위원으로 지난해 12월까지 활동했다는 사실도 새로 확인됐다. 유흥업소 운영자 등 경찰업무 수행과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위원이 될 수 없다는 운영규정에 어긋나는 것으로, 시민들의 의구심이 커질 수밖에 없다.
수사를 둘러싼 공정성 논란이 커지자 서울경찰청은 뒤늦게 최초의 폭행사건도 강남경찰서에서 서울청 광역수사대로 이송하기로 했다. 버닝썬 사건은 동영상 확산과 무분별한 추론으로 2차 피해 우려도 큰 상황인 만큼 경찰은 제기되는 모든 의혹을 신속하고 철저하게 밝혀내야 한다. 수사권과 기소권 분리라는 경찰의 요구도 경찰에 대한 신뢰 없이는 국민 공감을 얻기 힘들다는 점을 명심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