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 김형오 전 공천관리위원장이 지난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공천관리위원회에 참석하며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4·15 총선이 한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주요 정당들의 후보 공천 작업이 막바지로 접어들고 있다. 여야 정당들은 애초 ‘개혁 공천’의 기치를 내걸었지만 결과는 실망스럽기 짝이 없다. 공천을 둘러싼 잡음과 혼란만 난무할 뿐 애초의 인적 쇄신 약속은 물거품이 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현역 교체율이 27%대로 저조한데다 그나마 친문 성향이나 586세대 정치인들이 후보를 꿰찬 경우가 많았다. 민주당은 현역 129명 중 불출마 21명, 컷오프 4명, 경선 패배 10명 등 35명이 공천에서 탈락해 물갈이 비율은 27%에 그쳤다. 경선 과정에서 3선 이상 7명의 현역이 탈락하면서 이변이 연출됐지만, 586세대로 분류되는 현역 의원들은 대부분 공천을 받았다. 청와대 출신 인사들이 30명 가까이 공천받는 등 주류 그룹이 건재를 과시했다. 서울 강서갑 금태섭 의원의 경우 당 지도부가 김남국 변호사를 경기 안산 단원을로 전략공천한 뒤 강선우 전 부대변인과 경선을 치르도록 했지만 큰 표차로 탈락하면서 당 안팎에선 중도 표심의 이탈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미래통합당은 상대적으로 물갈이를 많이 했지만 막판에 ‘사천 논란’이 불거지는 등 후폭풍이 커지고 있다. 미래통합당은 대구·경북 중진 등 현역을 대거 교체하면서 현역 교체율이 35%대에 달했다. 하지만 김형오 공천관리위원장이 이른바 ‘사천 논란’에 휩싸이면서 사퇴하기에 이르렀다. ‘김형오계’로 분류된 인사 중 몇몇은 후보 공천이 취소되기까지 했다. 특히 세월호 유가족에게 “징하게 해 처먹는다”고 원색적인 비난을 쏟아붓는 등 막말 논란의 중심에 섰던 차명진 전 의원이 경선을 통과한 것은 막판 오점으로 남게 됐다.
진보정당인 정의당 역시 공천파동을 피해가지 못했다. 비례대표 1번 후보인 류호정씨가 ‘대리 게임’ 논란이 불거졌다가 사과 끝에 재신임을 받았고, 비례대표 6번 신장식 후보는 음주·무면허 운전 전력으로 끝내 자진사퇴했다.
선거 때마다 정당 공천이 이처럼 용두사미로 끝나는 것은 기득권에 연연한 탓이 크다. 공천 혁신을 약속하지만 결국은 눈앞의 이익에 급급해 공천이 샛길로 흐르기 십상이다. 국민은 안중에 없고 당내의 복잡한 이해관계만을 따지는 탓이다. 정당들의 이런 행태에 대해선 국민이 표로 심판하는 수밖에 없다. 후보들의 면면을 꼼꼼히 따져 소중한 한 표를 소신껏 행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