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친이재명계 의원들이 5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전당대회 룰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정성호·정청래·박주민·김병욱·양이원영·김남국·김용민·장경태 의원. 공동취재사진.
더불어민주당에서 새 지도부를 선출하는 예비경선 규정과 권역별 최고위원 투표제 등 8·28 전당대회 경선 규정을 놓고 파열음이 터져 나왔다. 당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가 매듭지은 규정 일부를 지도부가 뒤집자 전준위 위원장이 사퇴하고, 친이재명계(친명계)를 중심으로 의원들이 공개 비판에 나선 것이다.
안규백 의원은 5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전준위 논의가 형해화되는 상황에서 더는 생산적인 논의를 이끌어가는 것은 어렵다고 판단했다”며 전준위원장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혔다. 친명계 좌장인 정성호 의원을 비롯한 39명의 의원들은 이날 입장문을 내어 “비대위가 당원들의 투표권을 제한하고 민주주의의 기본적인 절차마저 훼손하는 결정을 했다”며 “충분한 논의 없이 독단적으로 졸속 의결한 비대위의 결정을 거두고, 모든 당원이 참여하는 ‘전당원 투표’를 하자”고 주장했다. 김남국·박주민·장경태 등 전당대회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는 의원들도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논쟁 지점은 크게 두가지다. 먼저 본선에 진출할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가리는 예비경선(컷오프)의 경우 전준위는 당 중앙위원 투표 70%, 국민 여론조사 30%를 반영하기로 뜻을 모았으나 비상대책위원회는 중앙위원 투표 100%인 기존 규정으로 이를 돌려놨다. 현역 국회의원, 광역·기초단체장, 원외 지역위원장, 고문단 등 400여명으로 구성된 중앙위원 선거는 당내 정파와 계파의 이해관계에 첨예하게 반응한다. 이 때문에 “당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있어서 최대한 국민의 의견을 듣고자” 국민 여론조사 30% 조항을 도입했다는 게 안규백 의원의 설명이다.
이날 입장문을 낸 의원들도 “중앙위원급 위원만으로 예비경선을 치르게 되면, 당내 기득권 세력들의 의지가 담긴 후보들만을 투표에 부치는 문제를 지속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우상호 비대위원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후보자가 10명을 넘기는 경우에 여론조사를 한다면 일반 국민이 어떤 변별력을 갖고 판단할 수 있겠느냐는 우려가 있었다”고 말했다. 후보가 난립하는 여론조사는 ‘인지도 대결’이 될 수밖에 없고, 본선에서 권리당원과 대의원, 일반국민들의 투표가 있으니 거기에서 민심을 반영하면 된다는 게 지도부의 입장이다.
비대위가 최고위원 선거에 권역별 투표제를 도입한 것도 뜨거운 논쟁거리다. 비대위는 ‘지도부가 수도권 의원들로만 채워지는 문제를 극복해야 한다’며 최고위원 선거에서 선거인단에 부여되는 2표 중 1표는 투표권자가 속한 권역 출신 후보에게 반드시 행사하도록 제도를 설계했다. 2016년 전당대회 때도 ‘지역균형 지도부’가 구성돼야 한다며 시도당 위원장들이 호선으로 최고위원을 맡았지만 지속되지 못했다. 지난해 5·2 전당대회에선 서삼석 의원이 호남 단일후보로 최고위원에 출마했지만 낙선했다.
권역별 투표제가 유지되면 최고위원 후보들은 연고지의 당원 규모와 출마자 숫자에 따라 희비가 엇갈린다. 지난 대선을 기준으로 수도권 대의원과 권리당원은 33만여명, 호남·제주 권역은 21만여명, 영남 권역은 7만여명이다. 이날 입장문을 낸 의원들은 “당원의 투표권을 제한하는 것이기 때문에 절차적 민주주의를 정면으로 위반한다”고 지도부를 비판했다. 당내 반발이 거세지자 우상호 위원장은 지도부 회의를 소집해 전대 규정을 재논의하기로 했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 심우삼 기자
wu3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