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8일 오전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옛 외교부장관 공관) 옥상에서 인부들이 작업을 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관저 리모델링 업체 특혜 수주 의혹’이 확산하는 가운데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김건희 여사가 직접 밝혀야 할 문제”라며 “해명이 안 되면 반드시 국정조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통령 공관 리모델링 공사를 수의계약으로 따낸 업체 대표를
김 여사가 대통령 취임식에 초청한 사실이 확인되자, 국정조사 압박의 수위를 높인 것이다.
우 비대위원장은 19일 비대위 회의에서 “대통령 관저 리모델링 업체 대표가 대통령 취임식에도 초대를 받았다고 하는데, 보통 관계가 아니고서는 영부인이 직접 초청할 리가 없지 않냐”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이어 해당 업체가 공사 공고 뒤 2시간49분만에 낙찰받았다며 “이 공사가 있을 것을 예측해 사전에 입찰에 응하도록 권한 사람이 있을 텐데, 누가 봐도 그 사람은 김건희 여사가 아니겠느냐”, “이거야말로 대통령부인이 특정업체에 이권을 준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문제의 전모를 밝히지 않고 또다른 부정부패를 또다른 이권개입을 또다른 정실인사를 막을 수 있겠느냐. 이 업체에게 언제 어떤 방식으로 공사가 있다는 걸 알려주고 입찰하도록 권유했는지, 김건희 여사가 아니면 제3자 누가 김 여사의 지시를 받아서 이 업체에 이 공사에 참가하도록 권유했는지 밝히라”고 촉구했다.
앞서 18일 용산 대통령실 이전 과정과 대통령실의 사적 채용 문제 등을 두고 국정조사요구서를 제출한 민주당은 관저 리모델링 업체와 관련한 의혹이 커지자 반드시 국정조사를 성사시키겠다며 벼르고 있다. 여당이 “정치적 금도를 벗어난 다수의 생떼”(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라며 반발하는 가운데, 합의가 안 되면 ‘야당 단독으로 국정조사를 진행할 수 있다’는 뜻도 내비친 것이다. 박홍근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원내수석들이 협의하는 과정을 우선 밟아나가겠다”면서도 “그 과정에서 (여당이) 국정조사를 수용하지 않겠다는 의사가 분명하면 우리가 다른 절차에 따른 대안이 있는지 검토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정감사 및 조사에 관한 법률 4조에선 “조사에 참여하기를 거부하는 교섭단체의 의원은 제외할 수 있다”고 정하고 있다.
민주당은 국정조사의 초점을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에 맞추고 있다. 진성준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시비에스>(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시중에는 ‘권력서열 1위가 김건희 여사이고 2위는 한동훈 장관, 3위는 윤석열 대통령’이라는 이야기가 있다”며 “지금 드러난 것만 봐도 김건희 여사의 지인들, 이전에 (김 여사가 운영한) 코바나콘텐츠라든지 이렇게 사적인 활동 과정에서 맺어진 인연들이 지금 대통령실 주변에서 채용된다거나 공사를 수주하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지 않느냐”고 말했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 임재우 기자
abbad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