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
불출마 번복? 민주정부 성과 지키려
공격적이란 평가? 고치려 노력 중
공격적이란 평가? 고치려 노력 중
〈한겨레〉는 이해찬 후보 쪽에 ‘100인 유권자위원회’ 위원들이 보내온 질문들을 전달했다. 이 후보는 ‘다소 냉소적이고 공격적이란 평가를 받는다’라는 질문에 “일부 동의한다”며 “대선에 나오면서 고치려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극좌를 1, 극우를 10으로 봤을 때, 자신의 이념 성향은?(김민수·20·대학생·부산)
=서구, 특히 복지가 발달한 북유럽의 관점에서 보면, 대통합민주신당의 정책지향은 오히려 중도우파에 가깝다. 개인적으로 보면, 경제정책적으로는 한 6쯤 되는 것 같고, 사회복지 분야에서는 조금 진보적인 4 정도라고 본다. 사회문제에 대처하는 개인적 이념 성향으로는 4 정도 되지만 정책적으로는 현실을 중시하기 때문에 6 정도 될 것이다. 정책을 펴는 공인으로서 자신의 이념성향에만 따르는 것은 무책임한 일이고 현실의 단계와 조건을 살펴야 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
-총리 시절 대선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했다. 가장 최근에 이런 취지의 말을 했던 시점은 언제인가?(조권현·50·벤처기업인·광주)
=그런 의사를 언론에 밝힌 마지막 시기는 아마 2006년 1월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올해 초까지도 별로 출마할 생각이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5월이 다 되어서 이대로는 도저히 한나라당을 이길 수 없고 민주정부 10년의 성과가 모두 무너지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열심히 하고 있는 한반도 평화조차 한나라당이 집권하면 무너질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에 나라도 대선에 나가 이겨야겠다는 생각에 출마를 했다.
-‘이해찬 세대’라는 말은 젊은 유권자들에게 여전히 큰 인상으로 남아있고 영향을 끼칠 것으로 생각된다.(이정현·22세·대학생·서울)
=2003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학생들의 학력을 측정하는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에서 우리 학생들이 창의력 1위, 읽기 2위, 수학 3위, 과학 4위를 했다고 언론이 격찬을 했다. 바로 그 학생들이 중학교부터 이해찬식으로 교육받은 ‘정통 이해찬 세대’다. 그런데 왜 학력이 저하되었다고 주장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수능 점수가 곧 학력이라는 시대에 뒤떨어진 일부 주입식 교육 세대들의 잘못된 관념이 학생들의 자신감을 떨어뜨리고 있는데, 나는 ‘이해찬 세대’가 창의력 세대로 재평가될 것이라 믿는다.
-하늘 끝까지 오르는 등록금 인상을 어떻게 규제할 것인가? 후불제는 취업난도 문제가 되지만 사회인이 돼서도 ‘빚’으로 남을까 걱정이다.(최정아·21·대학생·서울)
=정부 지원과 연계해 등록금 인상을 물가 수준 이상으로 하지 못하게 유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학자금 융자제도의 이자율을 낮추고 상환 방식을 개선하는 등 학자금 조달 자체를 용이하게 하는 방안도 생각하고 있다. 일률적인 후불제는 정부 재정에 부담이 크고 학자금 융자제도와의 관계도 생각해야 하며, 사회인이 된 학생들에게도 부담을 줄 수 있어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 후보는 다소 냉소적이고 공격적이라는 평을 듣는다.(박윤희·43·농업·제주)
=국정의 구석구석을 잘 알고 정책질의에 대해 성의있게 답변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상대방이 사리에 맞지 않거나 정책이 아닌 정략적인 이야기만 하면 참지 못하는 면에서 이미지가 강해 보인다는 것은 동의한다. 하지만 다양한 요구를 민주적으로 조정하고 포용하는 것은 위장된 온화함이 아니라 합리적이고 민주적인 리더십이다. 언론에 비치는 모습도 나의 일부분임에는 틀림없고, 대선에 나오면서 그 일부분조차 국민들의 기대에 맞도록 고쳐나가고자 노력하고 있다.
-아흔살 홀몸노인이 있는데 자녀들이 있어서 의료비 감면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병원비가 1000만원쯤 밀렸다. 이 노인이 이 후보에게 대통령 개인 비용으로 치료비를 내달라고 한다면 어떻게 하겠나?(김지태·40·의사·광주)
=개인적인 차원이라면 비용을 대는 것이 가능한 일이지만 대통령으로서 문제를 개별적 차원에서 해결한다는 것은 국가 전체적으로 득보다 실이 클 수 있다. 자녀들이 있더라도 병원비를 부담할 능력이 되지 않는다면 당연히 의료보호 대상자로 지정되도록 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부양의무자가 부양을 거부하는 독거노인이 되는 것이며 부양의무자가 끝내 거부할 경우 복지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것이므로 이를 해소할 체계적인 방안을 찾는 것이 대통령으로서 할 일이라 생각한다.
정리 이재명 기자 miso@hani.co.kr
사진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