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동당 심상정 비상대책위원회 대표 등 당직자들이 30일 낮 서울 문래동 당사에서 열린 창당 8주년 기념식에서 떡을 자르고 있다. 연합뉴스
심상정 대표 담화문, 혁신안 통과 거듭 호소
노회찬, ‘부결땐 탈당’ 시사…자주파 “타협 못해”
노회찬, ‘부결땐 탈당’ 시사…자주파 “타협 못해”
30일 민주노동당 창당 8돌 기념식은 조촐하기만 했다. 20여명이 참석한 기념식에서 심상정 비대위 대표는 “여덟 번째 생일을 맞았으나 투병중”이라는 말로 당의 현실을 나타냈다. 혁신에 성공해 제2창당으로 나아가느냐, 당이 깨지느냐가 결정될 임시 당대회(2월3일)를 코앞에 두고, 민주노동당에는 ‘한 지붕 세 가족’의 혼란이 심화하고 있다.
‘일심회 조작사건 관련 가족대책위’는 이날 서울 문래동 당사에서 일심회 사건 관련자 제명 결정에 항의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반민주 반통일 악법인 국가보안법에 의해 실형 선고를 받은 당원을 편향적 친북행위자로 규정하고 제명 조처하겠다는데, 이는 진보정당에서 있어서는 안될 일”이라고 주장했다. 자주파의 핵심 인사인 김창현 전 사무총장은 언론 인터뷰에서 “다수파로서 대선 패배 책임을 인정하고 지도부를 총사퇴했고, 저는 총선 불출마 선언까지 했다. 자주 평화통일 신념에 대해 종북이니 친북이니 딱지를 붙이면 어떤 경우에도 타협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강경 평등파는 신당 창당 움직임을 더욱 구체화하고 나섰다. 이들은 “31일 한국사회당, 초록정치연대 등과 토론회를 열어 대안 진보정당 건설 방식과 일정 등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혁신안 부결=불신임’이라는 배수진을 치고 나선 심상정 대표는 양쪽 강경파를 강하게 비판하는 한편, 담화문을 내어 혁신안을 통과시켜 줄 것을 호소했다. 심 대표는 “편향적 친북행위에 대해 합당한 책임을 묻는 일을 ‘정치 공세’라고 규정하는 것은 자주파의 책임 회피이며, 혁신안 통과와 상관 없이 당을 떠나 무조건 신당을 하겠다는 분들은 즉시 탈당하는 게 도리”라고 말했다. 심 대표는 특히 “일심회 관련자들이 당직자 성향 분석 자료를 외부 세력에 유출한 것은, 국가보안법 이전에 당직자들에 대한 심각한 인권 침해”라며 자주파 일각의 주장을 일축했다. 이들이 국가보안법을 ‘방패’ 삼아 해당행위에 눈감고 있다는 것이다. 노회찬 의원도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어 “비대위 혁신안을 원안대로 통과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비대위 혁신안이 부결될 경우 당은 파국적 상황을 피할 수 없게 되고, 그 경우 제가 서 있는 자리는 지금 이 자리가 아닐 수 있다”고 말해 부결시 탈당 가능성을 시사했다. 비대위 관계자는 “혁신안이 가결될지 부결될지 아무도 모른다”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