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영세 민주노동당 대표 직무대행과 소속 의원들이 11일 오전 국회에서 당 분열 봉합 대책을 논의하는 의원총회를 하던 중, 뒤늦게 회의에 참석한 심상정 의원(오른쪽)이 이영순 의원 등과 인사하고 있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천영세 대표 대행-최순영 집행위원장’ 체제 정비
“20일까지 중앙위 열어 재창당 방안 마련하겠다”
심상정 등 탈당 고민속 분당흐름 막을지 미지수
“20일까지 중앙위 열어 재창당 방안 마련하겠다”
심상정 등 탈당 고민속 분당흐름 막을지 미지수
분당 위기에 처해 있는 민주노동당이 ‘의원단 체제’로 위기 수습을 꾀하고 나섰다. 하지만 노회찬 의원이 탈당 뜻을 밝힌 데 이어 심상정 의원도 탈당을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어 분당 흐름을 되돌릴 수 있을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민주노동당은 11일 국회에서 긴급 의원총회를 열어, 의원단이 전면에 나서 당 체제를 정비하고 ‘재창당’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천영세 대표 직무대행은 의총 브리핑에서 “의원 대표단이 당 위기를 조기 수습하기 위해 전면에 나서기로 했다. 의원단은 당의 단결과 화합, 과감한 혁신을 추진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며 이렇게 말했다. 천 대표는 최순영 의원을 당 집행위원장에, 이영순 의원을 당 대변인에 각각 임명했다.
천 대표는 그러면서 “함께 살 것이냐, 함께 죽을 것이냐는 기로에 서 있다. 분열과 분당은 공멸의 길이다. 아무리 어려워도 함께 죽는 길을 선택해서는 안 된다”며 신당파를 비판했다. 그는 “민주노동당은 북한이나 미국의 정당이 아닌 대한민국의 정당이다. 내부 활동가와 당직자의 시각이 아니라 국민과 당원의 눈높이에서 당을 혁신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천 대표는 이달 20일까지 중앙위원회를 열어 당 수습 방안을 확정하고, 늦어도 3월 초까지 총선 체제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천 대표의 이런 결정에도 불구하고, 분당 흐름이 멈출 것으로 보는 시각은 많지 않은 편이다. 신당파인 ‘새로운 진보정당운동’은 이날 성명을 내어 탈당 세력과 당 밖의 진보세력들이 시급히 창당 추진기구를 구성하자고 제안했으며, 노회찬 의원도 본격적인 창당 행보에 나설 뜻을 밝혔다.
노 의원은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 인터뷰에서 “학계와 시민사회단체, 정치권에서 뜻을 같이 하는 사람과 적극적인 연대를 모색하겠다”며 “일회용 총선용 정당을 만들 생각은 없다. 총선 때까지 그런 세력을 많이 모아 창당하면 제일 좋겠는데, (창당) 시점과 관련해서는 중지를 모아 가장 현실적인 방도를 택하겠다”고 말했다. 노 의원은 또 심상정 의원과의 논의에 대해 “설 전에 1차 논의를 했고, 기본적으로 뜻을 같이 하기 때문에 앞으로도 공동 보조를 맞춰나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심상정 의원은 그러나 거취와 관련해 “계속 고민 중”이라며 아직까지는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날 의총에도 심 의원은 참석하고 노 의원은 불참하는 등 ‘속도 차이’를 나타냈다. 심 의원 쪽은 “이번 주까지는 혁신안에 동의했던 지지자들, 당 밖 인사들의 의견을 계속 경청할 것”이라며 “새로운 모색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좀더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는 처지”라고 말했다. 탈당을 고려하고 있지만, 시간과 명분이 좀더 필요하다는 얘기로 들린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