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청와대회담’ 정세균 비판 목소리
“촛불탄압 등 현안에 단호하게 했어야”
“2중대 소리 듣는 판에 뭘 더 협력하나”
“촛불탄압 등 현안에 단호하게 했어야”
“2중대 소리 듣는 판에 뭘 더 협력하나”
정세균 민주당 대표가 지난 25일 이명박 대통령과 한 회담을 두고, 민주당 안에서 ‘야성’과 선명성이 훼손됐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 대표는 스스로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 생산적인 대화였다”고 평가하지만, 이명박 정부의 독주를 막아내기를 바라는 국민들한테 똑부러지게 내세울 만한 게 없다는 것이 비판의 요지다.
최문순 의원은 26일 ‘이 대통령과 정 대표의 만남은 잘못됐습니다’란 제목의 글을 자신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실었다.
최 의원은 “회담을 요약하면 민주당은 초당적으로 협력하기로 합의했다는 것인데, 언제 민주당이 이 대통령에 대해 제대로 제동을 걸어본 적이 있는가”라며 “지금도 2중대 소리를 듣는데 뭘 더 협력한다는 말인가”라고 비판했다.
최 의원은 “결국 이 대통령은 경제·남북문제는 협력을 얻기로 하고 나머지는 야당 대표의 문제제기를 경청해준 것에 만족한다고 하니 ‘더이상 좋을 수 없었다’고 한 것”이라며 “앞으로 더 자주 만나 취할 것만 취하겠으니 ‘국정 운영의 동반자’가 되자고 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종걸 의원도 26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성과가 있다고 해서 봤더니 경제 살리기, 남북문제 등 추상적인 것만 있고, 촛불시위자 수배 해제나 표적수사 등 주요 현안에 대해서는 제대로 얘기하지 못했다. 정 대표는 우리가 야당이라는 것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는 것 같다”고 쏘아붙였다. 조경태 의원은 “지금 이 시점에서 동반자 관계라는 표현이 국민들에게 오히려 혼란만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김상희 의원도 “촛불 탄압에 대해 좀더 단호하게 했어야 한다. 대표가 너무 실무형”이라고 말했다.
정 대표도 이런 비판을 의식했는지, 이날 광주에서 연 최고위원회의에서 “회담을 한 것은 극한투쟁 일변도가 아니라 협력할 것은 협력하고 경쟁할 것은 경쟁하고 싸울 것은 확실히 싸운다는 정돈된 민주당의 입장을 반영한 것”이라고 말했다. 싸울 때와 타협할 때를 나눠서, 화전 양면전략을 구사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첫 회담에서, 그것도 이명박 정부가 촛불 이후 강공 드라이브를 걸기 시작한 시점에서 온화한 모습을 보인 것은 두고두고 정치적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지은 송호진 기자 jieuny@hani.co.kr
이지은 송호진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