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이 23일 강원 춘천시 소양로 강원도당에서 열린 강원 총선공약 실천본부 출범식에 참석해 ‘강원도민과의 약속을 지키겠다’는 도내 당선자들의 각오를 듣고 있다. 춘천/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박vs비박 3인방 ‘경선룰 격돌’
김문수쪽 “독재적이고 제왕적 발상”
김문수쪽 “독재적이고 제왕적 발상”
새누리당 대선주자들이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규칙’을 놓고 본격적인 다툼에 들어갔다.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 23일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에 반대한다는 뜻을 밝히자 김문수 경기지사와 정몽준 의원이 동시에 반격하고 나섰다. 이재오 의원도 이들과 견해를 같이해 ‘비박 대선주자 3인방’이 경선 규칙을 고리로 연대를 형성하는 모양새다.
박근혜 비대위원장은 이날 강원도 평창 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방문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경기의 룰을 보고 선수가 거기에 맞춰 경기하는 것이지, 매번 선수에게 룰을 맞춰서 하는 것은 조금 말이 안 된다”고 말했다. 완전국민경선제를 수용할 뜻이 없다는 얘기다. 현행 당헌·당규엔 대의원과 책임당원, 일반국민, 여론조사 반영 비율이 ‘2:3:3:2’다.
정몽준 전 대표와 김문수 경기도지사 등은 ‘국민무시 발’상’, ‘제왕적 발상’이라며 반발했다. 이번 주말쯤 경선 출마를 선언할 예정인 정몽준 전 대표는 이날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선수가 룰에 맞춰야 한다’고 하는데 정치인은 시대변화에 맞춰야 한다. 변화를 두려워하고 국민을 무시하는 발상 아닌가요”라며 박 위원장을 비판했다.
김문수 경기도지사의 대선캠프 대변인인 차명진 의원도 이날 국회 정론관 브리핑에서 “새누리당이 박근혜 비대위원장 1인 지배정당으로 바뀐 상태에서 (현행 방식으로의) 대선후보 경선은 해보나 마나”라며 “그런데도 경선 룰을 고칠 수 없다는 주장은 독재적이고 제왕적 발상”이라고 말했다. 차 의원은 2002년 한나라당의 대선 경선 당시 박 위원장이 “지금 같은 경선제도라면 경선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며 이회창 총재에게 경선 방식 변경을 요구했던 발언록을 공개하면서 경선 방식 변경을 압박했다. 차 의원은 “‘제왕적 총재는 제왕적 대통령으로 갈 수밖에 없다’는 박 위원장의 2002년 말씀을 도대체 어떻게 이해해야 하겠느냐”고 꼬집었다.
앞서 김 지사도 이날 오전 <기독교방송>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현재 새누리당의 경선 방식은 대의원과 당원 투표 50%, 당에서 모집한 국민 투표 30% 등이 반영되는 방식인데 이렇게 해서는 민심과 멀어진다”며 “이런 구조를 가지고는 민심으로만 투표하는 본선에서는 승산이 없다”고 밝혔다. 다음달 10일 출마 선언을 할 예정인 이재오 의원도 김 지사, 정몽준 의원과 완전국민경선제 도입에 대한 견해를 같이하고 있다. 김종철 선임기자, 평창/송채경화 기자 phill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