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보호대상자 도시락 준비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성탄절을 하루 앞둔 24일 생활보호대상자들에게 줄 도시락을 만들기 위해 서울 관악구 난향동 난곡 사랑의 밥집을 찾아 자원봉사자, 새누리당 당직자들과 함께 도시락을 만들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박근혜 국정기조 엿볼 가늠자 될듯
통합형은 위원장에 호남쪽 거론
경제형이면 진념·강봉균 등 물망
통합형은 위원장에 호남쪽 거론
경제형이면 진념·강봉균 등 물망
국민통합이냐 민생경제냐?
정권 인수위원회 구성은 박근혜 정부의 국정운영 기조를 엿볼 수 있는 가늠자다. 인수위는 두달짜리 한시적 기구이긴 하지만, 새 정부에서 추진해야 할 정책들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조각과 청와대 참모진 구성을 담당하는 등 정책과 인사의 밑그림을 짜는 기구다. 따라서 인수위원장을 누구로 택하느냐는 인수위의 성격은 물론 향후 새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의 방향성을 짐작할 수 있는 주요한 지점이다. 여권 내부에서도 인수위원장의 성격을 놓고 여러 견해가 나오고 있다.
먼저 ‘국민통합형’이다. 황우여 대표는 24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시대의 정신이 국민통합이다. 국민을 하나로 하는 것 이상 더 큰 정치의 목표가 어디 있겠느냐”며 국민통합에 방점을 찍었다. 유기준 최고위원도 “조만간 구성될 인수위가 국민대통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선거 결과에서 드러난 48%의 반대자를 고려해야 하며, 특히 90%가 반대표를 던진 호남을 껴안을 수 있는 인사를 인수위 전면에 내세워야 한다는 견해다. 이런 논리에서 호남 출신인 김종인 전 국민행복추진위원장과 한광옥 전 국민통합위원회 수석부위원장, 박상증 전 참여연대 공동대표 등이 인수위원장에 거론되고 있다. 정갑영 연세대 총장과 이윤수 전 전남대 총장의 기용설도 이런 범주에 속한다. 특히 박근혜 당선인의 첫 인사인 당선인 대변인과 비서실장 인선에서 보수 편향성이 강한 윤창중 전 <문화일보> 논설위원을 임명함에 따라 ‘국민통합형 인수위원장’에 대한 수요는 더욱 커졌다.
그러나 새누리당 안에서는 다가올 경제위기에 대비해 민생경제를 우선하는 인수위가 되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강하다. 익명을 요구한 친박계의 한 의원은 24일 “인수위원장은 국정운영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밖에 없다. 지금은 경제위기를 앞두고 있기에 모양을 중시하는 통합보다는 경제를 우선시하는 민생으로 가야 한다. 경제성장론자가 맡아야 한다”고 말했다. 국정운영 기조가 민생경제 우선이 될 경우, 진념 전 경제부총리와 강봉균 전 재경부 장관이 1순위 인수위원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또 5년 전 박 당선인의 경제정책인 ‘줄푸세’ 공약을 짰고, 이번 대선의 공약 마련에도 관여했던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도 후보와의 관계 등에서 적임자로 꼽힌다. 한덕수 전 총리와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도 경제 관련 인물로 거론된다. 특히 이들은 이헌재 전 부총리를 빼고는 모두 호남 출신이어서 민생에 방점을 두면서도 ‘국민통합형 인사’라고 주장할 수 있는 근거를 주기도 한다.
하지만 이번 당선인 수석대변인, 비서실장 인선에서 보듯 의외의 새로운 인물이 깜짝 발탁될 가능성도 다분하다. 새누리당 선대위의 주요 직책을 맡았던 한 인사는 “박 당선인은 인수위를 철저하게 일 잘하는 사람으로 구성할 것이다. 인수위원장도 거물보다는 실무책임자급이 발탁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종철 기자 phill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