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원내대표 경선에 출마한 이주영 의원(오른쪽)과 유승민 의원이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각각 기자회견을 하려다 만나 인사를 나누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2일 새누리 원내대표 경선
새누리당의 새 원내 사령탑 선출을 하루 앞둔 1일, 원내대표-정책위의장 후보로 나선 이주영·홍문종 의원과 유승민·원유철 의원은 잇따라 기자회견과 오찬 기자간담회를 열어, 서로 승기를 잡았다고 주장했다. 친박근혜계 후보로 분류되는 이주영·홍문종 의원 조는 “여권 결속력 강화”를, 비박근혜계 후보로 분류되는 유승민·원유철 의원 조는 “당 중심성 강화”를 강조했다. 아직 마음을 정하지 못한 부동표가 많은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내각으로 간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와 최경환 경제부총리, 황우여 교육부총리, 김희정 여성부 장관이 2일 투표에 참여하면 이른바 ‘박심 개입’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이주영-홍문종 후보
“열린우리당도 당청 갈등 되면서
선거서 판판이 져서 대권도 뺏겨”
‘대통령 지지율 50% 이상 유지’ 약속 이주영·홍문종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당 중심성’을 강조한 유승민·원유철 의원 쪽을 겨냥해 “위기를 돌파하겠다며 대통령을 밀쳐내는 것은 위기 극복이 아니라, 당청이 함께 벼랑 끝으로 향해 가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의원은 이어진 간담회에서도 “이러다가 당이 ‘콩가루’ 되겠다고 걱정하면서 열린우리당 때 얘기를 하는 의원들이 많다. 그때 당-청 관계가 그렇게 (갈등 관계로) 되면서 열린우리당이 선거에서 판판이 다 져서, 결국 23 대 0까지 졌다. 결국 그 여파가 이어져 대권도 뺏겼다”고 말했다. 홍 의원도 “부부싸움을 문 열어놓고 하는 집안도 있나. 김무성 대표가 그 나름대로 (청와대에) 쓴소리를 하고 있는데, 원내대표가 더 센 쓴소리, 당이 감당할 수 없는 쓴소리를 하면 김 대표도 곤란해지기 때문에 그쪽(김 대표 쪽)도 (누구를 지지할지) 고민을 많이 하고 있는 것 같더라”고 말했다. 홍 의원은 “(유 의원이 청와대 행정관들을 겨냥해 한 말인) ‘청와대 얼라들’ 이런 말로 청와대를 바꿀 수 있겠냐는 얘기를 (의원들이) 한다”고 말했다. 경쟁 상대인 유·원 의원이 당선될 경우, 당-청 갈등이 커질 것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대신 이들은 “여권의 강한 결속으로 당 지지율 40% 이상, 대통령 지지율 50% 이상을 유지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의원은 “제가 ‘옳은 소리’를 하겠다는 건 쓴소리를 포함해 (청와대가) 수긍할 수 있도록 소통해야 된다는 말”이라며 “(대통령이) 소통과 인사가 가장 문제라는 지적에 나도 견해가 같다. 필요한 이야기를 국민 눈높이에 맞춰, 민심이 제대로 반영될 수 있도록 (대통령에게)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유승민-원유철 후보
“박근혜 정부 출범뒤 심각한 위기
진정한 변화와 혁신이 필요한 때”
‘민심’ 강조…‘박심’ 개입 소문에 신경 유승민·원유철 의원은 ‘당이 중심이 된 혁신’을 통해 내년 총선에서 승리하겠다고 다짐했다. 원내대표 경선을 앞두고 유권자인 의원들에게 ‘현실적 문제’인 내년 총선에서의 당선 문제를 꺼낸 것이다. 유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금 우리는 박근혜 정부 출범 뒤 겪어보지 못했던 심각한 위기에 처해있다. 민심이 무섭게 이반되는 상황에서 우리 당에 필요한 것은 진정한 변화와 혁신”이라며 “평시라면 부드러운 리더십이 가능할 수 있겠지만, 지금은 전시이기 때문에 위기를 돌파할 강력한 변화의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평소 ‘부드럽다’고 평가받는 이주영 의원이 아니라, 자신이 지금의 원내대표 적임자라고 강조한 것이다. 이들은 ‘민심’을 강조했다. 원유철 의원은 “모든 정책의 출발은 민심의 바다 한가운데 있는 당이 돼야 한다. 설익은 정책으로 혼란을 드리지 않도록, 당정의 사전 조율을 강화하고 당정협의도 정례화하겠다”며 당이 중심이 돼 청와대·정부와의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당 중심’을 강조하면서도, 경선에서 승리할 경우 향후 당청 관계가 삐걱댈 것이라는 우려를 의식한 듯 “국정 운영의 중심엔 대통령과 청와대, 정부가 들어가고, 새누리당도 집권여당으로서 그 중심에 들어가야 한다. 일체감은 당연히 필요하다”(유승민 의원), “당정청은 삼위일체다. 당정청이 일체가 돼야만 성공한 정부, 성공한 대통령이 된다”(원유철 의원)고 강조했다. 하지만 국무회의 일정을 2일에서 3일로 미룬 것이 국무위원들의 원내대표 경선 투표 독려를 위한 것이라는 소문 등 이른바 ‘박심’(박근혜 대통령의 의중) 개입 논란에는 민감하게 반응했다. 유 의원은 “국무위원들의 투표권은 당연히 있는 거다. 다만, 이런 문제로 대통령이 혹시라도 국민들에게 (원내대표 경선에 개입했다는) 오해를 받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선거서 판판이 져서 대권도 뺏겨”
‘대통령 지지율 50% 이상 유지’ 약속 이주영·홍문종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당 중심성’을 강조한 유승민·원유철 의원 쪽을 겨냥해 “위기를 돌파하겠다며 대통령을 밀쳐내는 것은 위기 극복이 아니라, 당청이 함께 벼랑 끝으로 향해 가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의원은 이어진 간담회에서도 “이러다가 당이 ‘콩가루’ 되겠다고 걱정하면서 열린우리당 때 얘기를 하는 의원들이 많다. 그때 당-청 관계가 그렇게 (갈등 관계로) 되면서 열린우리당이 선거에서 판판이 다 져서, 결국 23 대 0까지 졌다. 결국 그 여파가 이어져 대권도 뺏겼다”고 말했다. 홍 의원도 “부부싸움을 문 열어놓고 하는 집안도 있나. 김무성 대표가 그 나름대로 (청와대에) 쓴소리를 하고 있는데, 원내대표가 더 센 쓴소리, 당이 감당할 수 없는 쓴소리를 하면 김 대표도 곤란해지기 때문에 그쪽(김 대표 쪽)도 (누구를 지지할지) 고민을 많이 하고 있는 것 같더라”고 말했다. 홍 의원은 “(유 의원이 청와대 행정관들을 겨냥해 한 말인) ‘청와대 얼라들’ 이런 말로 청와대를 바꿀 수 있겠냐는 얘기를 (의원들이) 한다”고 말했다. 경쟁 상대인 유·원 의원이 당선될 경우, 당-청 갈등이 커질 것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대신 이들은 “여권의 강한 결속으로 당 지지율 40% 이상, 대통령 지지율 50% 이상을 유지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의원은 “제가 ‘옳은 소리’를 하겠다는 건 쓴소리를 포함해 (청와대가) 수긍할 수 있도록 소통해야 된다는 말”이라며 “(대통령이) 소통과 인사가 가장 문제라는 지적에 나도 견해가 같다. 필요한 이야기를 국민 눈높이에 맞춰, 민심이 제대로 반영될 수 있도록 (대통령에게)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박근혜 정부 출범뒤 심각한 위기
진정한 변화와 혁신이 필요한 때”
‘민심’ 강조…‘박심’ 개입 소문에 신경 유승민·원유철 의원은 ‘당이 중심이 된 혁신’을 통해 내년 총선에서 승리하겠다고 다짐했다. 원내대표 경선을 앞두고 유권자인 의원들에게 ‘현실적 문제’인 내년 총선에서의 당선 문제를 꺼낸 것이다. 유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금 우리는 박근혜 정부 출범 뒤 겪어보지 못했던 심각한 위기에 처해있다. 민심이 무섭게 이반되는 상황에서 우리 당에 필요한 것은 진정한 변화와 혁신”이라며 “평시라면 부드러운 리더십이 가능할 수 있겠지만, 지금은 전시이기 때문에 위기를 돌파할 강력한 변화의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평소 ‘부드럽다’고 평가받는 이주영 의원이 아니라, 자신이 지금의 원내대표 적임자라고 강조한 것이다. 이들은 ‘민심’을 강조했다. 원유철 의원은 “모든 정책의 출발은 민심의 바다 한가운데 있는 당이 돼야 한다. 설익은 정책으로 혼란을 드리지 않도록, 당정의 사전 조율을 강화하고 당정협의도 정례화하겠다”며 당이 중심이 돼 청와대·정부와의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당 중심’을 강조하면서도, 경선에서 승리할 경우 향후 당청 관계가 삐걱댈 것이라는 우려를 의식한 듯 “국정 운영의 중심엔 대통령과 청와대, 정부가 들어가고, 새누리당도 집권여당으로서 그 중심에 들어가야 한다. 일체감은 당연히 필요하다”(유승민 의원), “당정청은 삼위일체다. 당정청이 일체가 돼야만 성공한 정부, 성공한 대통령이 된다”(원유철 의원)고 강조했다. 하지만 국무회의 일정을 2일에서 3일로 미룬 것이 국무위원들의 원내대표 경선 투표 독려를 위한 것이라는 소문 등 이른바 ‘박심’(박근혜 대통령의 의중) 개입 논란에는 민감하게 반응했다. 유 의원은 “국무위원들의 투표권은 당연히 있는 거다. 다만, 이런 문제로 대통령이 혹시라도 국민들에게 (원내대표 경선에 개입했다는) 오해를 받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