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구 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유성엽 간사(왼쪽 넷째)와 소속 의원들이 8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 후보자는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라”고 밝히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언론외압 사태 계기 사퇴 촉구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신임 당대표가 8일 당선 소감을 통해 ‘박근혜 정부와의 전면전’을 선포한 것이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의 거취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표는 각종 의혹이 끊임없이 쏟아지는 이 후보자에 대해 강경대응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완구 총리’를 적당한 국정 파트너로 생각해왔던 우윤근 새정치연합 원내대표도 이에 보조를 맞출 것으로 보인다. 새정치연합은 전당대회에 앞서 이날 오전 이 후보자의 부동산 투기 의혹과 교수 채용 특혜 의혹에 이어 언론사에 압력을 행사한 사실이 드러난 것을 계기로 자진사퇴를 촉구하고 나섰다.
새정치연합 총리후보자 인사청문위원들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 후보자는 더이상 총리로서 자격 없다”며 “하루가 멀다 하고 터져 나오는 각종 의혹을 국민과 국회에 소상히 밝히고 사과하라. 또 그동안 벌여온 언론통제 진상을 낱낱이 밝히고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라”며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서영교 원내대변인도 브리핑에서 방송사 토론자 교체는 물론이고, 기자 인사에까지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는 식으로 이야기한 이 후보자의 발언 녹취록을 언급하면서 “잘못된 언론관”이라며 “청문회를 제대로 진행할 수 있을지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일”이라고 비판했다.
새정치연합의 한 당직자는 “박근혜 정부와의 ‘견제와 협력’이라는 야당의 역할에서 봤을 때, 박지원 후보가 협력을 상대적으로 강조했다면, 문재인 대표는 견제를 상대적으로 더 강조해왔다”며 “이 후보자에 대해 강경모드로 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윤근 원내대표 쪽도 “우 원내대표는 이 후보자가 정치인 출신이고 계속 협상해온 파트너였기 때문에 낙마까지 시킬 필요가 있을까 생각했는데, 의혹들이 점점 제기되니 흔들리고 있다”며 “새 지도부와 함께 논의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그러나 새정치연합도 고민은 있다. 문창극·안대희 총리 후보자가 이미 두차례 낙마했고, 이 후보자가 ‘충청 대망론’이 반영된 정치인 출신 총리라는 점 때문에 강공 모드 끝에 낙마할 경우 부담이 적지 않다.
조혜정 이승준 기자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