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2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만인이 법 앞에 평등한 사법정의의 실현은 오직 야당에 달려있다며 이를 위해선 야당의 대승적 결단이 필수적이다”고 김명수 대법원장 후보자의 국회 인준을 호소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명수 대법원장 후보자 인준을 위한 본회의 표결을 앞둔 21일 오전 더불어민주당은 ‘캐스팅보터’ 국민의당을 향한 막판 호소에 주력했다. 여야 각 당은 오전 의원총회를 열어 막바지 의견조율 작업에 나섰다.
우원식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많은 국민이 김명수 후보자에게서 대통령에게도 ‘노’라고 말할 수 있는 사법부 독립의지와 기본권 수호 철학을 확인했다. 야당의 대승적 결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우 원내대표는 야당을 차례로 지목하며 협조를 거듭 당부했다. 그는 먼저 국민의당을 향해 “무엇보다 협력적 동반자 관계인 국민의당을 향해 마음을 다해 협조를 요청한다”며 “사법 역사를 다시 쓸 국민의당 40명 의원들의 결단을 기대한다”고 호소했다. 우 원내대표의 목에는 국민의당의 상징색인 녹색 넥타이가 매어져 있었다. 이 넥타이는 우 원내대표의 ‘정치적 스승’인 고 김근태 상임고문으로부터 받았다고 한다. 그는 이어 바른정당을 향해 “공정하고 상식적 보수를 지향하는 바른정당이 나라다운 나라를 만드는 데 (민주당의) 파트너”라며 “솔로몬의 지혜 발휘해달라”고 당부했다. 우 원내대표는 또 자유한국당 의원들을 향해서도 “비록 반대 당론을 채택했지만 의원 개개인의 생각과 판단은 다를 수 있다”며 “김 후보자가 사법부 개혁의 적임자인지를 기준으로 판단해달라”고 말했다. 이어 열린 민주당 의원총회 역시 ‘비장함’이 감돌았다. 제윤경 원내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결과를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은 분명하다. 오전까지 적극적으로 (야당 의원들을) 한분 한분 만나뵙고 설득하고 오후 표결을 잘 마무리하자는 원내대표와 원내수석부대표의 보고가 있었다”고 밝혔다. 제 원내대변인은 이어 “아슬아슬하지만 원내대표단이 마지막까지 낮은 자세로 임하자는 분위기였다”고 덧붙였다.
김명수 대법원장 후보자의 임명동의안 표결을 앞두고 2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당 의원총회에서 김동철 원내대표(가운데)가 발언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이날 오전 9시께 열린 국민의당 의원총회에선 ‘자율투표’와 ‘권고적 당론 채택’ 여부를 두고 의원들의 견해가 엇갈렸다고 한다. 당내 찬-반 기류가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호남 중진 의원들을 중심으로 “찬성” 의견과 “권고적 당론을 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먼저 제기됐다. 박지원 의원은 공개발언에서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문재인 대통령이 안철수·김동철 두 대표에게 간곡하게 전화했고, 김 후보자 청문회는 역대 어떤 청문회보다도 도덕성 하자가 없었다”며 “당론 투표로 하자는 말은 아니지만, 가·부결에 대한 의총의 입장을 가급적 빨리 명확하게 정리하자”고 제안했다. 정동영 의원도 “대법원장 인준이라는 중대한 투표에 있어서 책임있는 정당이 어떤 방침을 갖지 않는다는 것은 책임정치의 주체로서 문제가 있다”고 꼬집었다. 하지만 여러차례 원내지도부가 ‘자율투표’ 방침을 밝힌 상황에서 이제와 당론 채택을 하긴 어렵다며 난색을 표한 의원들도 많았다고 한다. 특히 안철수 대표가 “현 시점에 제기된 논의의 필요성을 결정하려면 종합적인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며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당론 채택 논의에 제동이 걸렸다. 안 대표는 모두발언에서 “사사로운 이해관계를 떠나 (김 후보자가) 오로지 독립적인 사법부를 수호할 수 있는 인물인지라는 단 한가지 높은 기준을 적용해 판단해주시길 바란다”며 사실상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도 했다. 안 대표의 이런 태도에 대해 천정배 의원은 의총에서“대표의 입장이 모호하다. 방향을 정하는 것이 지도부의 리더십”이라고 지적한 것으로 전해졌다.
바른정당은 이날 오전 의원총회를 열어 김명수 후보자 임명동의에 반대하는 쪽을 당론을 정했다. 김세연 정책위의장은 “절대 다수 의원의 의견을 모은 결과”라고 밝혔다. 바른정당은 이날 의총에서 하태경 의원이 ‘김 후보자 임명동의 찬성’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혔지만,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 동의로 당론을 정할 수 있다’는 당헌·당규에 따라 반대당론을 확정했다. 최고위원인 하태경 의원은 의총 도중 퇴장하면서 기자들에게 “김 후보자를 반대할 결정적인 명분이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김규남 기자
3string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