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조현옥 인사수석, 임종석 비서실장이 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회 운영위원회의 청와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의 조국 민정수석 불출석과 관련한 의사진행 발언을 듣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문재인 정부 첫 대통령비서실 국정감사가 열린 6일 국회 운영위원회에선 조국 민정수석의 불출석과 청와대 인사 시스템 문제를 두고 여야가 격돌했다. 전희경 자유한국당 의원은 ‘주사파 청와대’ 주장을 펴, 국감장이 아수라장이 되기도 했다.
이날 오후 국감에서 전희경 의원은 ‘주사파 전대협·운동권이 장악한 청와대’라는 제목의 프레젠테이션 화면을 띄우며 노골적인 색깔론을 제기했다. 전 의원은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 의장 출신인 임 실장에게 “전대협의 강령은 반미와 민중에 근거한 진보적 민주주의라고 밝히고 있다. 청와대에 들어간 전대협 인사들이 이 같은 사고에서 벗어났다고 볼 수 없다”며 “이런 인사들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을 이야기한다고 하는데, 반미운동을 한다는 사람들과 뭐가 다른지 알 수가 없다”고 말했다. 이에 임 실장은 “모욕감을 느낀다. 그게 질의인가”라며 반박했다. 임 실장은 “5·6공화국 때 군인들이 광주를 짓밟고 민주주의를 유린할 때 전 의원님이 어떻게 살았는지 제가 살펴보지 않았다. 그런데 의원님이 거론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생을 걸고 민주주의를 위해 노력했다. 의원님이 말씀하신 정도로 부끄럽게 살지 않았다”고 했다. 임 실장은 “국민의 대표답지 않게 질의를 한다. 충분히 국회를 존중하고, 최선을 다해서 인내하고 답변해왔으나 더 답변할 필요를 못 느낀다”며 언성을 높였다. 이에 여야 의원들의 고성이 오가며 한동안 국감이 중단됐다. 파행은 정우택 운영위원장의 요구로 임 실장이 “위원회 운영에 누가 된 것에 관해 진심으로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사과하면서 정상화됐다.
앞서 이날 오전 국감 시작부터 자유한국당과 국민의당 등 야당 의원들은 의사진행 발언을 쏟아내며 조국 민정수석의 불출석을 비판했다. 조 수석은 지난 1일 “임종석 비서실장을 비롯해 참모진 다수가 청와대를 비우는 상황에서 업무 특성상 자리를 비우기 어렵다”며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김선동 자유한국당 의원은 “(출석하기로) 여야 합의된 증인인데 당일이 닥쳐오자 불출석 사유서를 냈다. 이는 국회를 무시하는 걸 넘어 멸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쪽은 방어막을 쳤다. 박용진 의원은 “민정수석은 대통령 업무를 보좌하고 긴급한 현안에 대응하려 청와대에 남는 게 그간의 관례였다”고 말했다.
민경욱 자유한국당 의원은 “(문재인 정부 들어) 7명의 고위직이 낙마한 것은 존안자료를 만들어 보고하는 민정수석이 책임질 일이 아니냐”고 따졌다. 이에 임 실장은 “저희의 시스템이 어떻게 완전하겠는가. 인사가 참 어렵다”고 말했다. 임 실장은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의 딸 ‘격세·쪼개기 증여’ 문제에 관해 청와대 관계자가 “합법적인 절세였다”고 한 데 대해 “기자들과의 대화 과정에서 적절치 못한 내용이 있었다. 경솔했다”고 말했다.
성연철 이승준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