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21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바른정당과의 통합을 위한 전당원투표 안건이 심의될 당무위원회를 주재하던 중 당무위원들이 발언하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국민의당이 2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당무위원회를 열어 바른정당과의 통합 여부에 대한 ‘전당원투표’ 안건을 통과시켰다. 호남 의원을 중심으로 한 통합 반대파들은 ‘당원투표 거부(보이콧)’를 당내에 확산시켜 통합 움직임에 제동을 걸겠다고 맞섰다.
국민의당 당무위는 전체 당무위원 75명 가운데 48명이 참석해 45명이 손을 들어 찬성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전날 안철수 대표가 승부수로 내놓은 전당원투표 안건을 의결했다. 당무위는 통합에 찬성하는 원외 인사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안건 통과가 무난할 것으로 예상됐었다. 안 대표는 자신의 대표직과 바른정당과의 통합 여부를 연계한 당원투표를 오는 27일부터 진행해 31일에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통합 반대 의견이 많으면 대표직에서 물러나지만, 찬성이 우세하면 내년 1월 전당대회를 열어 바른정당과의 합당안 의결을 시도한다. 당무위를 주재한 안 대표는 안건 의결에 앞서 “내가 만난 당원의 목소리는 중도개혁 세력을 결집하고 새로운 길로 나아가라는 명령이었다. 지난 두 달간 실시한 수차례 당원 여론조사에서도 통합에 대한 강력 지지가 반영돼 있다”며 통합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이어 “문제는 내가 확인한 당심과 우리 당 중진 의원 몇 분이 판단하는 당심이 달라 접점을 찾을 수 없는 것”이라며 “소모적이고 파괴적인 논란을 끝내야 한다”며 당원투표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통합 반대파를 향해 “나의 재신임을 거론하던 분들이 재신임 당원투표를 저지하겠다고 한다. 국민이 이해할 수 있겠느냐”고 불만을 내비쳤다. 박지원·천정배·정동영·최경환 의원 등 통합 반대파들은 당원들을 독려해 당원투표 거부에 나설 방침이다. 이들은 당원투표와 관련해, ‘당원투표권자의 3분의 1 이상의 투표와 과반수 득표로 확정된다’는 당규(당원규정 제25조4항)를 주목한다. 현재 국민의당 당원이 27만명에 가까운 만큼 이번 당원투표에 ‘최소 9만명 이상’이 참여해야 유효하다는 것이다. 지난 8월 안 대표가 당선된 대표 선거에선 당원 투표율이 24.26%(5만7천여명 참여)에 그쳤다. 통합 반대파들은 당원투표 거부를 통해 투표율을 더 낮춰 안 대표의 당원투표 시도를 정치적으로 무력화하겠다는 구상이다. 통합 반대파인 이상돈 의원은 “만약 당원투표율이 10%밖에 안 되고, 그중 통합 찬성이 많다고 해도, (전 당원이) 통합에 찬성했다고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철근 당 대변인은 “(3분의 1 이상 투표는) 당원들이 당원투표를 직접 청구해 투표할 경우 규정이며 (당대표가 당원투표를 요구한) 이번에는 해당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반면 통합 반대파 쪽 인사는 “국민의당 당규 가운데 당원투표 유효 조건을 정한 조항은 딱 하나뿐인데, 그 조건이 바로 3분의 1 이상 투표다. 당연히 이번 당원투표에도 적용된다”고 주장했다.
통합 상대인 바른정당의 유승민 대표는 이날 당 최고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서 “안 대표와 국민의당 개혁세력의 (통합을 향한) 결단을 환영한다. 이분들과 함께 개혁의 길을 같이 가겠다”고 화답했다. 유 대표는 통합 교섭을 맡을 의원으로 22일 원내대표에 취임하는 오신환 의원과 호남 지역구인 정운천 의원을 지명했다.
송호진 김규남 기자
dmz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