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훈 국가정보원장이 5일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가정보원이 “북한에서 총정치국에 대한 검열이 진행된 결과 황병서가 총정치국장에서 해임돼 현재 고급당학교에서 사상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제1부국장 김원홍은 해임·출당되는 등 다수 간부들이 해임이나 처형됐다”고 국회 정보위원회에 보고했다.
5일 국회 정보위 전체회의에서 국정원으로부터 업무보고를 받은 뒤 정보위원장인 강석호 자유한국당 의원은 기자 브리핑을 통해 “북한이 지난해 10월부터 3개월간 당 조직 지도부 주도로 총정치국에 대한 검열을 진행했다. 부국장 조남진과 염철성도 강등 후 혁명화 교육을 받았다고 국정원이 보고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강 의원은 “최근 총정치국 인사개편 동향에 대한 보고도 있었다”며 “전 인민무력성 1부상 김정각이 황병서 후임으로 (총정치국장이) 됐고, 조직부국장에는 손철주, 선전부국장에는 이두성이 임명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최근 대북 제재 파급 영향에 대해서 강 의원은 “연이은 대북제재로 북한은 석탄, 수산물, 임가공 의류 등의 수출이 차단돼 대중 교역교모가 급락했고, 대중 무역적자는 2017년 말 19억6000만불로 최대 규모였다”며 “또 유엔결의 2397호 등 유엔결의가 철저하게 이행될 경우 올해 외화수입액이 대북제재가 본격화되기 전인 2016년 대비 절반이하로 감소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고 말했다.
김정은 북한 노동위원장의 동향에 대해 강 의원은 “김정은의 금년 공개활동은 작년 동기에 대비해서 절반 수준인 총 6회로 많이 줄었다”며 “민생 부문 현장 시찰에 치중을 하고 있고 군부대 방문 등 군사활동은 없다”고 했다.
이어 오는 8일 북한의 건군절 열병식과 관련해 정보위 자유한국당 간사인 이완영 의원은 “북한이 지난해 12월초부터 평양 미림비행장에서 병력 1만2000여명, 장비 160여대를 동원해 열병식을 준비중이고 이번에 각종 미사일이 공개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주시하고 있다고 국정원이 보고했다”고 밝혔다.
평창동계올림픽 대테러 안전 대책에 대해서 이 의원은 “1월29일부로 17개 기관으로 구성된 대테러 안전대책본부를 본격가동하고 조직위와 경호안전통제단 등 유관기관과 긴밀한 공조하에 운용되고 있다”며 “대회 개막이 임박함에 따라 ISIS 등 국제테러단체의 테러 타깃 가능성, 외로운 늑대형 자생테러, 올림픽 반대단체의 행사 방해 등 안전위협 요인을 진단하고 있고, 경기장, 선수촌, 관계자 숙소 등 18개 시설에 현장 안전통제시설을 개소하고 안전 유지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국정원의 보고 내용을 전했다. 외국인의 국내 입국과 관련해서도 이 의원은 “국정원은 미국 등 정보기관과 합동으로 대회 등록카드 발급을 신청한 외국인들에 대한 신원검증을 철저히해서 테러연계 혐의자를 제외시키고 있다”며 “외국인 테러 전투원의 국내 침투 가능성에 대비해 해외 정보기관과의 공조를 통해 현재 외국인 3만6000여명의 입국을 금지하고 있다”고 했다.
풍계리 핵실험장에 대해 이 의원은 “현재 풍계리 핵실험장 2번갱도가 지난해 6차 핵실험 이후 방치된 상태이고 4번 갱도는 굴착공사가 진행 중”이라며 “3번 갱도는 언제든지 핵실험을 할 수 있는 상태”라고 밝혔다. 이 의원은 “영변에 있는 5메가와트 원자로가 현재 정상 가동중이고, 가동한 지 2년이 경과됐다는 점에서 재처리 가능성에 대해서도 주시를 하고 있다고 국정원이 보고했다”고 밝혔다.
김규남 기자
3string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