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정의당 의원.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정의당이 새 당대표 선출 시기를 7월11일로 확정했다. 아직 후보 윤곽은 드러나지 않았지만, 총선을 앞두고 인지도 높은 당대표에 대한 요구가 높다는 점에서 심상정 의원의 출마 가능성이 거론된다.
정의당은 지난 4일 전국위원회를 열어 당대표와 광역시·도당 위원장, 지역위원장 등을 선출하는 전국동시당직선거 일정을 확정했다. 다음달 12일 선거 공고를 하고 18~19일 후보등록을 받아 7월6~11일 당원총투표를 실시한다. 과반 득표자가 없으면 7월17일까지 결선투표를 한다.
아직까지 공식 출마선언을 한 후보는 없다. 당 안팎에선 심상정 의원이 유력 후보로 거론된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선거제도 개혁안의 패스트트랙 지정을 큰 탈 없이 이끈 것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많다. 강력한 리더십에 대한 요구도 크다. 새 당대표는 내년 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진두지휘해야 하고, 그보다 앞서 패스트트랙에 오른 선거제 개혁안이 본회의를 통과하면 당내 비례대표 후보 선출 절차 등도 매끄럽게 마무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 핵심 당직자는 “심 의원이 당대표 출마를 공식적으로 표명한 건 아니지만, 주변에 출마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의중을 전달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심 의원을 제외하고는 아직 뚜렷한 후보군이 눈에 띄지 않는다. ‘이정미 연임론’도 일각에서 거론된다. 선거제도 개혁안 패스트트랙 지정 과정에서 이 대표가 적잖은 공헌을 했고 고 노회찬 의원의 지역구였던 경남 창원성산 보궐선거 승리를 이끌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창원성산 보궐선거 당시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아 선거를 승리로 이끈 양경규 전 공공운수노조연맹위원장도 출마를 고민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당 관계자는 “당대표 선거에 앞서 5월 원내대표 선출 일정이 잡혀 있고, 당대표 후보 등록까지는 아직 시간이 남아 있어 구체적인 후보 윤곽은 이달 말이 지나야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재의 단일성 지도체제(대표 1명, 부대표 3명)를 집단 지도체제로 전환하는 방안은 이날 전국위원회에서 부결됐다. 당 관계자는 “새로운 지도부 선출을 코앞에 두고 지도체제 변경을 논의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게 다수 의견이었다. 내년 총선을 치른 이후 다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규남 기자
3string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