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승수 정치개혁연합 사무총장. 한겨레 자료사진
정치개혁연합이 양정철 민주연구원장에게 ‘시민을 위하여’와 함께하겠다는 사실을 일방적으로 통보받았다고 주장했다. 사실상 더불어민주당 주도의 연합정당 창당에 녹색당·미래당등 주요 진보 소수정당이 제외되고, 플랫폼을 둘러싼 갈등도 격화되면서 ‘위성정당’ 논란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하승수 정치개혁연합 사무총장은 18일 아침 <한국방송>(KBS) 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어제(17일) 오전 양정철 민주연구원장에게 ‘시민을 위하여와 개문발차하겠다’고 구두로 통보받았다. 사실상 일방적 통보였고, 굉장히 납득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하 총장은 “오랫동안 고생해왔던 원외 정당인 녹색당이나 미래당은 빠졌고 창당한 지 1년도 되지 않은 정당들이 몰렸다”며 “정말 소수정당의 원내 진입이라는 취지를 가지고 있다면, 열심히 오랫동안 활동해왔던 정당들에게 문호를 열려고 노력하는 게 우선”이라고 주장했다.
하 총장은 양정철 민주연구원장이 정치개혁연합쪽에 창당 시한과 일정을 이유로 압박성 발언을 계속해왔다고 주장했다. 하 총장은 “양정철 원장이 전화로 ‘본인이 협상권을 위임받았다’고 밝히며 굉장히 일방적으로 통보해왔다”며 “예를들면 언제까지 통합하지 않으면 안된다, 우리들은 선택할 수밖에 없다‘는 식의 일방적인 언행들을 계속해왔다”고 밝혔다. 이어 ‘시간이 촉박해 이미 정당 교부증을 받은 시민을 위하여를 선택했다’는 민주당의 주장에 대해서도 “정치개혁연합도 중앙당 서류만 접수하면 되는 상황이라 시한을 맞추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 또 만약 시한이 정말 문제였다면 소통을 했어야했는데 그동안 협의 과정에서 그런 문제를 이야기하지 않았다”고 했다.
하 총장은 ‘정치개혁연합이 자체 비례후보를 내 선거가 끝난 뒤에도 당을 존속시키려고 한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서도 “전혀 근거가 없는 이야기”라고 못박았다. 그는 “총선 후에 해산을 하고, 참여한 시민사회분들은 단 한사람도 출마하지 않겠다는 것은 공개적으로 수 차례 밝힌 이야기”라며 “근거없는 마타도어들이 나오는 것을 보면 오히려 민주당 쪽에서 정치개혁연합은 형식적으로 끼워맞추기식으로 가는게 아닌가 의심을 할 정도”라고 지적했다.
황금비 기자
with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