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에서 3선 고지에 오른 미래통합당 당선자들이 27일 국회 의원회관 식당에서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체제’와 관련한 간담회를 하기에 앞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하태경·김도읍·이종배·조해진·이헌승·박덕흠 당선자. 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
말 많고 탈 많은 ‘김종인호’는 출항할 수 있을까?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전환 여부를 결정지을 미래통합당 전국위원회가 28일 열린다. 총선에서 ‘역대급 참패’를 당한 당을 수습하고 보수 쇄신의 중책까지 떠맡을 ‘김종인 비대위’의 출범 여부가 전국위원 700명의 선택에 의해 갈리게 된다. 당 안팎의 중론은 ‘이변이 없는 한’ 비대위 의결은 정해진 수순이라는 것이다. ‘달리 대안이 없다’는 공감대가 당내에 널리 확산돼 있다는 게 이유다.
심재철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전국위원회 개최에 앞서 28일 오전 10시 당선자 총회를 열기로 했다고 27일 밝혔다. 최고위원회가 주도한 ‘김종인 비대위’ 구성에 반발하며 “당선자 총회를 먼저 열어달라”고 한 중진들의 요구를 수용한 것이다. 이날 오전 3선 당선자 10여명은 국회에서 만나 “지도체제 문제는 향후 당의 명운을 가르는 중요한 문제다. 21대 총선 당선자 총회에서 개혁 방향과 내용에 총의를 모은 뒤 이를 바탕으로 (지도체제가) 논의돼야 한다”고 압박 수위를 높였다. 임시 지도부가 중진들의 의견을 순순히 수용한 것은 당선자 총회를 열어도 비대위 의결에 큰 변수가 되지 않을 것이란 계산이 섰기 때문으로 보인다.
통합당 전국위에는 당 지도부와 상임고문, 소속 국회의원, 21대 국회 당선자, 당 소속 지방단체장 등 700여명이, 상임전국위원회에는 전국위 의장과 부의장, 국회 상임위원장, 시·도당 위원장 등 50여명이 속해 있다. 이번 상임전국위와 전국위에는 차기 전당대회 시기를 규정한 당헌 개정안과 비상대책위원장 임명안이 부의될 예정이다. 재적 인원 과반 출석에 찬성이 절반을 넘게 된다면 최고위는 즉시 해산하고, ‘김병준 비대위’ 이후 1년2개월 만에 통합당은 다시 비상 운영 체제를 밟게 된다.
당 일각에선 4년 전 20대 총선 참패 직후와 같은 ‘전국위 무산 사태’가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통합당의 전신인 새누리당은 2016년 총선에서 참패한 정진석 당시 원내대표를 비대위원장으로, 김용태 의원을 혁신위원장으로 임명하는 비대위 구성안을 상임전국위에 상정했으나, 정족수 미달로 부결된 전례가 있다. 당시 새누리당은 “임시정부 출범조차 스스로 포기했다”는 비판에 부닥쳤고 당 내홍도 극에 달했다. 다만 당시엔 비박계가 주도한 비대위와 혁신위 구성에 친박계가 집단반발해 ‘보이콧’을 주도했다면, 이번엔 차기 당권주자 후보들이 주도해 ‘김종인 비대위’에 대한 비토를 하고 있다는 게 다르다.
통합당 지도부 관계자는 상황을 낙관했다. 한 관계자는 “반발하는 의원들에게도 ‘김종인이 아니면 누가 해야 하느냐’고 물으면 설득력 있는 대안을 못 내놓는다. 절차적 문제를 제기할 순 있겠지만 바로 가든, 돌아가든 ‘김종인 비대위’ 출범으로 결론이 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날도 김종인 비대위에 대한 반발은 산발적으로 이어졌다. 조경태 최고위원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8월30일까지로 돼 있는 전당대회 기한을 (당헌에서) 삭제한다면, 10월30일이든 12월30일이든 기한을 정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김종인 비대위 안건이 상정되더라도 부결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