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희 국회부의장이 24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진행된 교육·사회·문화에 관한 대정부 질문에서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곽상도 미래통합당 의원의 설전이 계속되자 곽 의원에게 질의를 계속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래통합당 초선 의원들이 27일 박병석 국회의장과 김상희 국회부의장에 지난 22~24일 있었던 대정부질문을 편파적으로 진행했다며 개선을 요구했다. 조수진 통합당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같은 내용의 글을 공개하고 이날 오전 11시께 국회의장단에게 해당 글을 전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통합당 초선 의원들은 대정부질문에서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답변 태도와 국회의장단의 대응을 비판했다. 이들은 “추 장관은 질문하는 야당 의원들에게 ‘그래서 어쩌라는 건가’, ‘저한테 시비 걸려고 질문하는 거 아니지 않느냐’ 등 시종 감정적으로 대응했다”며 “‘국민의 대표’인 국회의원의 질문에 답변하기 위해 출석했다는 국무위원의 오만한 태도에도 박 의장과 김 부의장은 즉각 주의를 주거나 제지하지 않고 국무위원의 눈치를 살피는 모습을 보여줬다”고 꼬집었다.
이어서 이들은 “대정부질문을 야당 공세의 장으로 악용한 여당 초선의원에게도 즉각적인 제지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김 부의장은 야당 의원들의 항의가 한동안 이어진 뒤에서야 제지하면서도 ‘자기 정치적인 입장을 말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며 감쌌다”고 주장했다. 지난 23일 경제분야 대정부질문에서 통합당을 강하게 비판한 이소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례를 지적한 것이다.
이들은 “중립적으로 보기 어려운 국회의장단의 회의 진행에 대해 적지 않은 실망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며 “청와대에 꼼짝 못 하는 ‘절대다수 여당’이 야당을 고립시키려 해서는 국회는 ‘청와대 출장소’ ‘통법부’라는 비판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국회의장단은 헌법상 행정부 수반인 대통령의 권력을 견제하는 삼권분립의 한 축”이라며 “공정하지 않은 의사 일정 진행이 반복되지 않도록 유념해달라”고 덧붙였다.
국회를 중립적으로 이끌라는 취지로 국회의장은 당적을 가질 수 없다는 국회법에 따라 박 의장은 민주당을 탈당해 무소속이다. 김 부의장은 민주당 소속이다.
이주빈 기자
ye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