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형준 부산시장 보궐선거 국민의힘 후보가 지난 8일 국회에서 열린 당 전국 시·도당위원장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4·7 부산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여권이 밀어붙인 ‘가덕도 특별법안’ 카드가 생각만큼 ‘바람’을 일으키지 못하고 있다. 박형준 국민의힘 후보의 독주 체제가 지속되면서 ‘가덕도 법안’으로 판을 바꾸려던 민주당의 고민이 깊어지는 모양새다.
9일 여론조사업체 입소스가 <중앙일보> 의뢰로 지난 6일부터 이틀간 부산시 거주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누구에게 투표하겠냐’고 물었더니 박 후보가 48.0%, 김영춘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32.5%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박 후보는 오차범위(95% 신뢰 수준에서 표본 오차±3.1%포인트) 밖에서 김 후보를 15.5%포인트 크게 앞섰다. 부산 지역 최대 현안인 ‘가덕도 신공항 특별법이 이번 선거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43.6%가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지난달 25일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가덕도를 찾아 “조속한 특별법 입법을 희망한다”고 강조하고, 예비타당성 조사(예타)를 면제시킨 가덕도 신공항 특별법이 민주당 주도로 하루 만에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는 등 정부 여당이 무리수를 두면서까지 ‘가덕도’에 공을 들여온 것을 고려하면, 거의 효과를 거두지 못한 셈이다. 입소스 조사에서 가덕도 신공항 이슈가 여당 후보에게 유리할 것이라는 응답(35.7%)이 야당 후보에게 유리할 것이라는 응답(9.9%)을 압도하고, 정당 지지율이 국민의힘 30.8%, 민주당 29.9%로 팽팽하게 맞서고 있음에도 후보 간 경쟁률은 가덕도 신공항 특별법 처리 이전이나 이후나 똑같이 10%포인트 이상의 격차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누리집 참조).
배철호 리얼미터 수석위원은 <한겨레>에 “행정수도처럼 쟁점이 없는데다가 민주당이 급속하게 법안을 통과시키며 (오히려) 진정성·순수성에 대한 의문을 불러온 측면이 있다”며 “김 후보는 ‘오거돈 사태’로 빠져나간 민주당 전력을 복원했지만 당 지지율을 뚫고 나갈 만큼 치고 나가지 못하는 반면, 박 후보는 ‘정권 심판론’ 프레임을 이용하며 중도·무당층을 흡수하는 모습”이라고 짚었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
김영춘 더불어민주당 부산시장 후보가 8일 오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최종 후보로 선정된 소감을 말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