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출마한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왼쪽)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지난 15일 서울 영등포 더플러스 스튜디오에서 열린 단일화 비전발표회를 마친 뒤 인사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국민의힘과 국민의당이 18일에도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단일화 협상에서 접점을 찾지 못해 후보 등록 마감일(19일)까지 단일후보를 내는데 실패했다.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따로 후보 등록을 한 뒤 투표용지 인쇄 시작일(29일) 전까지 단일화를 목표로 협상 줄다리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 실무협상단장인 이태규 사무총장은 이날 오후 국민의힘 실무협상단장인 정양석 사무총장과 만난 뒤 기자들에게 “물리적으로 여론조사를 하기에는 촉박하다는 점과 오세훈 후보의 제안과 별개로 유선(전화조사) 포함 여부에 대한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시간을 더 갖고 추가 논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두 당 실무협상단은 여론조사 업체 한 곳은 서울시장 후보 적합도를, 다른 한 곳은 여당 후보를 상대로 한 경쟁력를 각각 조사하자는 데엔 합의했다. 하지만 ‘유선전화 10% 조사’ 포함을 두고 또다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안 후보 쪽은 무선전화 100% 여론조사를, 오 후보 쪽은 유선전화 10% 조사를 반영한 여론조사를 요구했다. 국민의힘은 집에 유선전화만 있는 유권자가 조사에서 배제되면 안 된다고 주장했지만, 국민의당은 무선전화를 통한 여론조사만으로 자체 경선을 치러온 국민의힘이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다며 맞섰다.
이날 오전 협상이 결렬됐던 두 당은 안 후보가 “저는 오세훈 후보가 오늘 아침에 수정 제안한 여론조사 방식을 수용하고자 한다”는 입장문을 내고, 오 후보가 “조속히 협상을 재개해 세부방안을 마련해주기 바란다”고 밝히면서 오후 2시부터 협상을 다시 시작했다. 그러나 또다시 ‘유선전화 10% 포함’ 문제로 15분 만에 협상이 결렬됐다. 이 때문에 이틀간 여론조사(17~18일)를 거쳐 단일 후보를 19일에 확정하겠다던 후보자 간 합의 이행도 무산됐다.
장나래 기자
w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