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안보를 이유로 각국 정부의 수출 규제가 증가하고, 기술과 자원이 무기화되는 등 상호호혜적인 국제분업체계와 평화로운 자유무역질서의 근간이 흔들리고 있다”면서 “경제와 안보에는 임기가 없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연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 들머리 발언을 통해 “최근 급변하고 있는 국제 경제질서의 핵심 화두는 경제안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자유무역에 기반한 수출 주도 개방형 경제를 추구하는 우리에게 중대한 위협이 아닐 수 없다”고 했다. 문 대통령이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를 직접 주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지금까지 우리 경제는 자유무역과 적시 공급체계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효율성에 중점을 두며 성장해왔지만, 날로 심화되는 공급망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안정성 중심의 공급체계 전환이 시급해졌다”고 짚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세계가 함께 겪을 수 밖에 없는 글로벌 공급망의 위기를 우리 경제의 체질과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기회로 삼아야 하겠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공급망 위기에 맞서 기회를 만든 사례로는 일본 수출규제 대응과 요소수 사태 등을 들었다. 문 대통령은 “일본의 수출 규제에 맞서 소재부품장비 자립화의 길을 개척하여 핵심 부품에 대한 대일 의존도를 크게 낮추었고, 자동차부품 수급의 차질에도 신속히 대응하여 세계 자동차 5위 국가로 부상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요소수 사태도 신속하게 극복했다”고 평가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시급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만약의 경우 우리 국민들의 안전한 대피와 철수에 만전을 기하고 우리 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미리 강구해야할 것”이라고 했다.
이날 열린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는 글로벌 공급망 차질과 인플레이션 확산 등 경제와 안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현안을 더욱 치밀하게 점검하고자 신설된 장관급 협의체다.
이완 기자
wa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