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왼쪽), 리커창 중국 총리(오른쪽)가 1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한·중·일 정상회의에 앞서 함께 손을 모아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3국 정상, 동북아평화협력 선언
“한반도 긴장조성 반대”
“역사직시, 미래지향” 내용 담아
기자회견서 리커창 ‘핵’ 언급 않고
아베는 ‘역사문제’ 언급 안해
“한반도 긴장조성 반대”
“역사직시, 미래지향” 내용 담아
기자회견서 리커창 ‘핵’ 언급 않고
아베는 ‘역사문제’ 언급 안해
한·중·일 3국이 “한반도에 긴장을 조성하거나 관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하는 어떠한 행동에도 반대한다”는 입장을 확인했다. 또 ‘역사를 직시하며 미래를 향해 나아간다’는 정신을 바탕으로, 양자 관계 개선 및 3국 협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3국 정상은 공동기자회견에서 핵심 쟁점인 역사인식·북핵 문제와 관련해 미묘한 인식차를 내보였다.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리커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1일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제6차 한·중·일 정상회의를 열어 ‘동북아 평화협력을 위한 공동선언’을 채택했다. 공동선언은 △동북아 평화협력 구현 △공동번영을 위한 경제·사회협력 확대 △지속가능한 개발 촉진 △3국 국민간 상호 신뢰 및 이해 증진 △지역 및 국제사회의 평화·번영 공헌 등 5개 분야 56개 조항으로 돼 있다.
2012년 5월 이후 3년6개월 만에 열린 이날 회의에서 3국 정상은 “이번 회의를 계기로 3국 협력이 완전히 복원되었다”고 선언했다. 한반도 정세와 관련해 3국 정상은 “한반도 및 역내 평화와 안정 유지가 공동 이익에 부합함을 재확인”하면서 “우리는 한반도에서의 핵무기 개발에 확고히 반대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하고, 모든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 및 9·19 공동성명상의 국제적 의무와 공약이 충실히 이행되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정상회의 뒤 열린 공동기자회견에서 “이번 정상회의가 3국간 교류와 협력을 더욱 강화시키고 더 나아가 3국의 양자관계 개선에도 기여하는 촉매제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리커창 중국 총리는 “3국은 과거를 총정리하고 서로 마주보며 걸어가 정치 안보와 경제 발전의 두 바퀴를 같이 돌린다는 큰 방향을 잘 파악하고 대화협력으로 안정발전 환경을 만들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북한의) 도발적 행동 자제와 유엔 안보리 결의 및 6자회담의 공동성명 준수,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구체적인 행동이 취해질 수 있도록 3국이 공조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한 것은 커다란 성과”라고 밝혔다.
그러나 3국 정상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등 역사인식과 북핵·북한 문제에 대한 이견을 드러냈다. 리커창 총리는 공동기자회견에서 “모두 다 아는 이유로 3국 협력 프로세스가 지난 3년 동안 방해를 받았다”며 “역사 문제에 대한 공동 인식은 상호 신뢰의 전제 조건”이라며 아베 총리를 겨냥했다. ‘핵 문제’와 관련해서도 3국 정상은 서로 다른 태도를 여과없이 드러냈다. 아베 총리는 공동기자회견에서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의 해결을 위해 두 정상한테 강하게 호소했다”고 밝혔다. 반면, 리커창 총리는 박 대통령이나 아베 총리와 달리 공동기자회견에서 ‘핵 문제’ 자체를 입에 올리지 않았다.
최혜정 이제훈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